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뉴스
"
전달
"(으)로 총 4,872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비자 뇌 현혹시켜 주머니 열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10
고려해 식품 매장 입구는 대개 오른쪽에 배치돼 있다. 또 사람이 소음에 노출되면 신경
전달
물질인 노르아드레날린과 코르티솔을 분비해 구매 의욕을 감퇴시킨다는 연구결과를 고려해 매장의 안내방송 소리도 작다. 이 모든 것이 뇌과학을 마케팅 영역에 적용한 ‘뉴로 마케팅’의 사례다. ... ...
리모콘 누르니 TV화면이 휘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8
세일즈 담당 카를로스 코리아 부사장으로 부터 커브드TV에 대한 화질성능 인증서를
전달
받고 있다. - 삼성전자 제공 리모콘을 누르면 평평하던 화면 네 귀퉁이가 말려, 사용자가 가장 보기 편한 상태를 만들어주는 ‘변신 TV’.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의 가전 ... ...
보석 속에 박힌 1억년 전 꽃 '놀랍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7
연구팀은 1억 년 전 지구에 서식하던 식물들은 주로 침엽수나 이끼류였지만 꽃가루를
전달
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곤충과 새들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꽃을 피우는 식물도 등장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포이너 교수는 “1억 년 전 꽃식물들도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속씨 생식’ 방식을 ... ...
사랑할 때 나오는 '도파민'이 인지능력까지 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도파민’ 분비다. 도파민은 중추신경계에서 신경세포 간 정보 교환 역할을 하는 신경
전달
물질로, 사랑의 감정을 느끼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 이와 관련, 지난 2010년 미국 시러큐스대와 웨스트버지니아대 공동연구팀은 사랑에 빠진 사람들의 뇌 활동을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관찰한 ... ...
도넛이 스스로 만들어진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4.01.05
합성 마이크로 도넛은 내부에 담았던 물질을 배출하는 기능을 이용해 새로운 형태의 약물
전달
체나 촉매, 나노물질 지지체 등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 교수는 “기존에는 불가능해보였던 구조체를 합성할 수 있게 된 만큼 앞으로 더 다양하고 안정된 나노 및 마이크로 구조체를 ... ...
우리 아이에게 우주의 신비를 가르쳐 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4.01.03
역임한 김지현 별학교장이 강의를 맡아 어린이들에게 우주과학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
해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김영진 과학동아 천문대장은 “지방이나 산 중턱에 위치한 천문대를 찾는 수고로움 없이, 전문 관측 장비가 갖춰진 도심 천문대에서 목성 줄무늬와 다양한 혜성 등을 직접 관찰하는 ... ...
"연구현장도 협동조합 개념 도입해 연구안정성 보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12.29
돈의 이동이 가장 큰 문제다. 연구비의 일부가 해당 과제에 속하지 않은 사람에게 직접
전달
되면 법에 걸릴 수 있다. 이 부분만 해결되면 충분히 실현 가능한 아이디어다.” - 제대로 정착만 된다면 상당히 유용할 것 같다. 아직 과학계에 이 같은 개념을 도입한 사례가 없나? “연구소에서 퇴직한 ... ...
파킨슨병 걸린 사람이 뇌종양도 걸리기 쉽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연구진은 “핑크1 유전자가 노치 유전자와 결합해서 신경줄기세포의 생존과 관련된 신호
전달
과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초파리가 아닌 사람 세포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뇌종양 환자의 암 세포에서 핑크1 유전자의 기능을 억제했더니 ... ...
[정영훈의 미수다] 2023년, 의료 한류가 세계를 휩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2.26
: 환자진료 개선 등을 목적으로 전자적인 통신망을 통해 어떤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전달
된 의료정보를 활용하는 기술. 홈케어는 U-헬스 중 가장 빠르게 발전한 분야로 현재 실용화가 이뤄지고 있고 모바일 헬스 케어 및 웨어러블 헬스 케어에 대한 연구개발도 활발히 진행 중. 기술의 예상 실현 ... ...
우리나라도 '슈퍼태풍' 안전지대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5
실종자 수는 각각 6000명과 1770명을 넘어섰다. 전 세계 국가들과 민간단체의 구호물품
전달
도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하이옌의 발생 원인을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상 이변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네이처’는 UN 연설과 금식 투쟁 등으로 전 세계에 기후 변화의 위험성을 역설한 ... ...
이전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