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뉴스
"
다만
"(으)로 총 4,81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들 “설탕 첨가된 청량음료 자주 섭취땐 DNA 노화 촉진”
동아일보
l
2014.10.21
탄산음료를 즐겨 마시는 어린이도 말단소립이 짧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다만
이번 연구가 청량음료와 노화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긴 하지만 설탕이 들어간 탄산음료 섭취가 세포 노화의 원인임을 증명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박해식 동아닷컴 기자 pistols@donag.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 ...
[2014 국정감사]과학문화 확산 사업, 수도권에 편중
2014.10.17
확산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사업이 수도권에 편중돼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난해 국정감사 자료를 그대로 옮겨 왔다는 물의도 일었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이재영 의원(새누리당)은 보도자료를 통해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최한 ‘대학민국 과학축전’이 2000년 이후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있어 읽어보니 꽤 흥미로웠다. 필자의 추측에 대해 결론부터 말하면 둘 다 아니었다.
다만
홍옥과 국광이 일본 이름인 건 맞다. 즉 후지의 한자(富士)를 우리말로 음역해 부사로 읽은 것과 마찬가지다. 홍옥과 국광 모두 일본이 아니라 서구에서 개발된 품종이다. 홍옥의 원래 이름은 ‘조나단 ... ...
톰슨로이터, 노벨과학상 수상후보 한국 과학자 첫 지목
2014.09.26
지목한 후보는 총 156명이며 이 중 25명이 노벨상을 수상해 적중률 16%를 기록하고 있다.
다만
지목된 해가 아닌 그 이후에 수상한 경우까지 포함한 수치여서 후보자로 지목받은 해에 바로 상을 받을 가능성은 더 낮아진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는 10월 6일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7일 물리학상, 8일 ... ...
대한민국 이공계 박사 연 평균 소득 ‘7613만 원’
2014.09.25
기술사의 2012년 소득은 평균 7183만원으로 전년보다 215만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공계 박사와 달리 기업 재직자의 소득이 7443만 원으로 대학 재직자의 소득 6582만 원보다 높게 나타났다. 고숙련 연구인력의 경우 소득이 7496만원으로 전년보다 815만원 상승했다. 대학과 공공연구소 ... ...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에 야생동물 수명 줄어
2014.09.23
반면 정상 먹이를 먹은 나비는 수명과 건강상태 모두 일반 나비와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부모세대가 방사능에 많이 오염된 먹이를 먹은 경우 정상 먹이를 먹여도 일부에서 앞날개 크기가 작은 기형이 나타났다. 오타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오염된 정도와 관계없이 방사능 ... ...
‘굿바이 나로과학위성’ 나로호 탑재체, 4월 우주 미아 됐다
2014.09.23
밝혔다. 나로과학위성의 설계수명은 1년으로 올해 1월 30일까지가 임무 기간이었다.
다만
인공위성은 설계수명보다 2, 3배 이상 우주에서 오래 버티는 경우가 많은 만큼 나로과학위성의 수명이 너무 일찍 끝났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006년 발사한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 ...
“과학기술 사업화 수익의 40%는 연구자의 몫”
2014.09.21
더 큰 성과를 내기 위한 조언을 남겼다. “한국은 이미 충분히 잘 하고 있습니다,
다만
더 잘 하려면 세계와 함께하려는 열린 자세가 필요합니다. 특히 중국은 한국의 열린 자세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한국 정부와 기업이 중국을 공장이나 시장으로만 봐 왔다면 이제는 과학기술과 금융 ... ...
‘안젤리나 효과’는 계속 된다
2014.09.21
가슴을 잃는다고 해서 여성성을 잃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해주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연구팀은 “가슴을 절제하는 것 외에도 식단관리, 항암제 투여 등 다양한 항암 치료 방식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동아쟁론] 과학교육 홀대 논란
동아일보
l
2014.09.12
밥그릇 챙기기로 곡해당하고 있다. 과학계가 초중등 과학 교육에서 챙기는 이익은 없다.
다만
개정의 절차 방향 내용 모두에서 나타나는 심각한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할 뿐이다. 개정 절차는 독점화 권력화되어 있고, 개정의 방향에는 미래사회의 인재상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없다. 새 ... ...
이전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