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쿨
학원
배움터
핵교
학당
학겨
핵겨
d라이브러리
"
학교
"(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발효식품 탁월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강의는 서양의 식품학 서적에 의존해 왔다. 이런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중고등
학교
의 교사가 돼 가르칠 수 있는 것은 빵이나 마요네즈, 샐러드 만드는 것일 수밖에 없다. 요즘 젊은이들은 우리 음식보다 서양음식을 더 잘 알고 좋아하도록 교육받은 것이다. 세계에 유례없는 발효조미식품 ... ...
2 IQ 검사 왜 하는가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서열화하는 일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이렇게 생각한다면
학교
등에서 지능검사를 하는 것이 얼마나 특수한 일인가를 알 수 있다. 의미가 있는 것은 제한된 장소에 한한다. 특별한 교육이 필요하거나 보통교육을 따라가지 못하는 아이를 선별하기 위해서만 유효한 것이다 ... ...
3 검사, 언제부터 비롯됐나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한 살 연상의 아이에게는 가능한 과제를 많은 예비작업을 통해 수집했다.그것도
학교
에서 배우는 지식과 같은 것은 될 수 있으면 버렸다. 가령 7세 수준의 문제로는 '다섯개의 숫자를 복창한다'는 것이 있다.비네의 독창성은 지적열등의 판단기준을 정상아수준과의 비교에 둔 데 있었다. 열등하거나 ... ...
2 국내- 멀티미디어 대중화 통신 환경 급변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천만명의 사용자를 가진 거대한 네트워크로 '정보의 보고(寶庫)' 라고 알려졌지만 그동안
학교
나 연구소를 중심으로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일반인들이 접근할 수 있는 경로가 극히 제한됐다. 하지만 3사의 서비스 경쟁으로 올해에는 보다 인터네트에 접속할 수 있는 문이 넓어지게 됐다.특히 ... ...
1. 유성생식, 종족보존에 유리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또한 자연선택설에 따른다면 그 이유는 분명 좋은 것이어야 한다. 뭐가 좋을까? 고등
학교
만 졸업한 사람이라면 금방 얘기할 수 있다. 유성생식이 좋은 것은 변이가 생기기 때문이라고, 환경에 보다 잘 적응한 후손을 만들어낼 가능성이 많으니까 좋은 것 아니냐고. 맞는 말이다.그러나 여기에 의문을 ... ...
곤충 연구하며 자연의 신비 캔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갈아주며 추녀끝에 매달아 놓았다. 그러면 베짱이와 여치는 잘 울어 주었다.소
학교
때는
학교
길에 강가 모래사장에서 명주잠자리의 애벌레인 개미지옥이 숨어 있는 작은 모래웅덩이를 파헤쳐 그 속에 숨어 있는 벌레를 찾아 모래 위에 놓고 굴을 파는 모습을 보곤 했다. 이때 그 웅덩이에 개미를 ... ...
1. 13살 컴퓨터 입문-30대 미국 제일 재벌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도구라는데 확고한 믿음을 가진 그는 가족의 반대를 무릅쓰고
학교
를 중퇴, 폴 앨런과 함께 마이크로소프트사를 설립한다. 두 사람은 새로 회사를 만들기 위해 애플과 코모도사에 프로그램을 짜주는 등의 일을 해주고 수십만 달러를 모았다.80년 7월은 그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 ...
물리 - 영구기관, 에너지보존법칙에 어긋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결과는 좀체로 기름이 절약되지 않는 것으로 다큐멘터리는 끝을 맺었다.그 젊은이는
학교
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빈번하게 취급되는 에너지 보존법칙을 이해했다면 그렇게 시간과 돈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다. 만약 그 아마추어 발명가의 의도대로 자동차가 동작하여 기름이 절약되었다면 ... ...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이것을 핵자기 공명기기를 이용해 촬영하는데 성공했다. 이 과정은 현재 미국 대
학교
에서 사용하는 학부 2학년 수준의 유기화학 교과서에도 자세히 소개돼 있다.한편 탄소양이온의 구조에 대해서 새로운 유기화합법의 개발로 7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퍼듀대학의 브라운 교수와 올라 교수가 벌인 ... ...
알기쉬운 미적분이야기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구할 때 마치 수박을 자르는 것처럼 차례로 붙여 나가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국민
학교
에서도 배운다(아래 그림). 직사각형의 위와 밑변이 처음에는 파도처럼 보이지만 짧게 자를수록 직선형이 돼간다. 그것이 바로 미분적인 생각이다. 그리고 한없이 작게 나눈 것을 다시 본래의 모양으로 바꾸어 ... ...
이전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