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방사능 위험안고 해저 누비는 핵잠수함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잠수함들은 두겹 구조다.핵잠수함에서 원자로용기는 선체 후반부의 중앙 부분에
위치
한다. 따라서 선체 앞부분의 파괴에 의해 두께 20cm 이상의 강철로 만들어진 원자로용기에 물리적 손상을 입히기는 어렵다. 그렇지만 원자로 격납용기 내 냉각수 파이프의 접속부분이 물리적 손상을 입게 돼 ... ...
3. 황금종 개구리가 이끈 환경올림픽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안되는 인구를 갖고 있어 더욱 풍요롭고 넉넉해 보인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드니가
위치
한 뉴사우스웨일스 주정부는 이번 올림픽을 준비하면서 온통 '3R'이라는 재활용 정신을 강조해왔다. '줄이고(Reduce),다시쓰고(Reuse),재생한다(Recycle)'는 것이다.이러한 정신에 따라 시드니 올림픽이 완벽한 ... ...
만약 전자의 스핀이 0으로 된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곳에 모아보려고 해보자. 전자가 똑같은 에너지와 스핀을 가지고 있다면 이 입자는 같은
위치
에 있을 수 없다. 그렇지만 이들을 한 곳에 놓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다른 에너지를 갖게 하거나 다른 각운동량 값을 갖게 하면 된다. 전자의 스핀이 ħ/2이므로 한 축에 대해 각운동량이 ħ/2이면 다른 ... ...
갈릴레이 뛰어넘기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밤 달라지는 모양 변화에 맞춰 음력이 만들어졌고,태양과 지구에 대한 상대적인 달의
위치
에 따라 월식과 일식이 생긴다.바닷물의 높이에 영향을 주는 밀물과 썰물도 달이 지구에 미치는 중력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달은 약 1개월을 주기로 모습을 바꾼다.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므로 태양에서 오는 ... ...
④ 미시세계에서 우주까지 설명하는 만물박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원리에 어긋난다. 다시 말해 불확실성 원리에 의해 전자는 정지할 수도, 한 곳(핵)에
위치
할 수도 없으므로 에너지를 완전히 잃을 수 없다. 결국 모든 세상이 존재하는 것은 양자론 덕분이다.원자핵은 원자보다도 1천배나 작은 크기로서 더 작은 핵들로 분열하거나 다른 핵과 합쳐져 더 큰 핵을 만드는 ... ...
신비로운 무늬 연출하는 선의 조화 무아레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이동하면서 캐릭터는 손을 위아래로 흔든다.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까.이것은 평행선의
위치
에 따라 보이는 손과 가려지는 손이 있기 때문이다.연속해서 움직이는 동영상을 볼 수 있는 이유다 ... ...
플라즈마응용표면처리 연구실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높은 압력을 이길 수 있는 고경도의 물질을 도금하는 것이다.1972년 미국 로스엔젤레스에
위치
한 캘리포니아 대학의 번샤 박사가 1천℃이상에서 합성되는 고온 화합물인 고경도의 질화티타늄(TiN),탄화티타늄(TiC)을 5백℃이하의 온도에서 도금하는데 성공했다.이 기술의 핵심은 코팅되는 물질만을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움직이는 달을 지평선에 고정된 달이 배경으로 있을 때 중천의 경우보다 더 먼 곳에
위치
시켰다. 다시 말하면 사람들은 지평선의 달이 중천의 달보다 더 멀리 있다고 착각했다. 지평선의 달은 거리착시 때문에 커보였던 것이다.필자 역시 국립중앙과학관의 천체투영관에서 이와 유사한 실험을 ... ...
나눗셈으로만 해결하기 어려운 달력 개정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그레고리력의 12개월에 첨가된 제13월을 솔(Sol)이라 부르고 6월(June)과 7월(July) 사이에
위치
시킨다. 각 해의 마지막 날, 즉 13월 29일은 공일로 정한다. 그리고 윤년에는 또 다른 공일이 필요한데, 이 경우에는 6월 29일을 만들고 공일로 정한다. 국제 고정력에서 부활절은 언제나 4월 8일로 고정된다.국제 ... ...
우주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밝기가 변하는 변광성들을 만날 수 있다.조선왕조실록에 최초 기록옛날 사람들은 천체를
위치
도 밝기도 변하지 않는 완전한 존재로 생각했다. 따라서 갑자기 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신성은 고대인에게 큰 놀라움을 주었다. 기원전 134년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히파르코스가 밝은 신성을 발견했는데 ... ...
이전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