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자폐증 밉지 않은 「레인맨」,그러나 방치하면 큰일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눈물을 글썽인다. 이때 레인맨은 동생에 대해 약간의 감정을 표현하는듯 보이다 곧 자기
본
연의 자세로 돌아간다. 떠나는 기차에서 동생에게 손한번 들어주지 않는 안타까운 여운을 남기지만 결코 미워할 수는 없다 ... ...
통계의 함정 숫자놀음이 많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한다.어느 제약회사의 광고에서 새로 개발된 감기약이 부적절하게 소개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임상실험결과 이 약을 복용한후 60%의 사람이 일주일 이내에 감기가 치유됐다고 주장한 것이다. 얼핏 듣기에는 아주 효험이 좋은 새로운 감기약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자세히 관찰해 보면 '명약'이 ... ...
사람을 너무 닮아 슬픈 운명에 오랑우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밖에 기록된 것이 없을 정도다. 필자도 이들과 오랫동안 대면해 왔지만 우는 소리를 들어
본
적이 없다. 이따금 '끽 끽'한다든가 '오우 오우'하는 소리를 내지만 너무 작아서 잘 들리지 않는다.이들의 주식은 고릴라와 마찬가지로 주로 과일, 특히 망고 오얏 무화과열매 듀리언열매를 즐겨 먹는다.현재 ... ...
여름방학 컴퓨터특강 가이드 어디서 어떻게 배울수 있나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것도 중요하다.일단 책을 구입하고 나면 우선 책을 전체적으로 대강 끝까지 읽어
본
후 바로 프로그래밍 또는 실습에 들어간다.실제로 프로그래밍하면서 또는 문서작성을 하면서 그때그때 필요한 기능들을 책에서 찾아가면서 기능들을 익혀나가야지. 처음부터 끝까지 한번에 다 공부하려고 들면 ... ...
상어보다 무서운 유독 가오리와 창꼬치 먹이로 달래 친구처럼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내가 19살 때 '모리타니아'근해에서 이 가오리독침에 찔려 거의 죽게 된 어부를
본
적이 있다. 우리는 가오리가 욕심이 많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므로 그물에 가득 물고기들을 넣어가지고 잠수했다. 드디어 가오리를 만났을 때 그물채로 던져주었다. 가오리는 이빨을 갖고 있지 않다. 그런데도 질긴 ... ...
여름철 피부보호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photoallergic reaction)도 있다. 광알레르기반응은 광과민성 약들을 한번 이상 먹어
본
사람에게 나타난다. 항원―항체반응, 즉 면역학적 반응이기 때문이다.광과민성 약들을 복용하면 우리 몸 안에는 그 약들에 대한 항체가 만들어진다. 이렇게 체내에 항체가 형성된 후 다시 약을 먹으면, 약이 항원으로 ... ...
TDX-1B개통을 계기로
본
국산 전자교환기의 역사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중에 40만회선 규모로 확대될 계획이다. TDX개발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고 이제 겨우
본
궤도에 올랐다고도 할 수 있다. 전전자교환기의 원천기술을 국내 기술진이 확보함에 따라 세계 10위권의 교환기생산국으로 발돋움했으며 일부 국가에는 수출도 이뤄지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분야의 기술혁신이 ... ...
우리 귀에 들리지 않는 곳에서 맹활약한다 초음파의 세계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초음파를 비파괴 재료시험(nondestructive material testing)에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그러나
본
격적으로 초음파가 연구되고 응용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이다. 이런 계기를 마련해 준 것은 인공의 압전결정체였다. 그때까지 초음파 발생 및 수신장치로 천연의 압전결정체를 사용하였으나 성능이 더 ... ...
동양·중국 전통과학의 한계 왜 제자리 걸음만 했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작용과 운동을 해서 수많은 현상과 성질들을 만들어내지만 이런 작용과 운동들은 기의
본
질적인 성질일뿐, 외부 원인의 작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따라서 중국인들은 어떤 자연현상이든 그것이 기의 어떤 작용과 운동 때문에 일어났다고 이야기되면 충분히 설명되었다고 생각했다. ... ...
TV과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복습은
본
수업을 받은 후, 가능한 한 빠른 시간 내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즉
본
수업과 복습사이에 시간의 공백이 길면 길수록 비효과적이다. 예컨대 오늘 배운 것을 일년 후에 복습한다면, 이것은 복습이 아니라 새로 다시 배우는 꼴이 될 것이다.또한 방송수업은 가르치는 사람의 ... ...
이전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