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Ⅳ. 미래의 문을 여는 바이오 칩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1기가 비트의 반도체 칩에 쓰인 막은 인간이 만들 수 있는 최대한의 박막인가? 이제 새로운 박막의 가능성은 사라진 것일까. 아니다. 생체분자박막으로 이뤄진 바이오 칩들이 미래의 문을 여는 새로운 열쇠로 등장했기 때문이다.고도로 발달된 생명체인 인간은 오감(五感)이라는 감각기관을 이용해 ... ...
① 테크노크라트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평양전산대학과 함께 10년 전 설립된 대학으로 북한에서 컴퓨터
공학
분야의 인재를 양성해내는 명문이다.북한 전산학의 오늘을 있게 한 개척자는 김책공업대학 전자계산기학부 학부장인 류순열 박사다. 금년 50세인 류박사는 산학(産學) 모든 분야에서 북한 전산학의 문을 연 과학자인 동시에 ... ...
1. 관상 어디까지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얼굴형태로 나타난다는 설명을 할 수 없다면 관상학은 과학이 될 수 없는 것이다.생명
공학
연구소 이대실 박사는 인간의 성격을 유전자와 연결시키는 연구는 "한마디로 멀고도 험하다"고 잘라 말한다. 원숭이와 인간은 유전자적으로 1-1.5%의 차이밖에 없는데도 동물과 영장으로 달라지는데, 미세한 ... ...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시간이 지날수록 전도성이 떨어진다는 점. 그러한 과제를 풀고 있는 곳이 있다.KAIST 화학
공학
과 응용레올로지실험실은 정인재 교수를 중심으로 1982년부터 전도성 고분자를 비롯해 다양한 고분자의 특성을 연구하고 있다. 레올로지(rheology)는 ‘유변학’(流變學)이란 뜻으로 고분자의 흐름과 변형을 ... ...
① 우주 탄생에서 박테리아 등장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여기저기서 제기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 행해진 ‘인간복제’ 실험을 비롯해 세계 생명
공학
계가 시도하고 있는 많은 연구 테마는 생명체를 함부로 조작하는 일이 흔해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을 낳게 한다. 어쩌면 생명경시사상은 무수히 많은 생명체가 주변에 늘상 존재하기 때문에 그 존엄성을 ... ...
20세기를 바꾼 아인슈타인의 논문3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뒤 사업에 실패한 아버지를 따라 이탈리아, 스위스 등으로 떠돌다가 아버지와 같은 전기
공학
자가 되겠다고 결심하고 재수 끝에 취리히공과대학에 입학했다. 물리학에 흠뻑 빠지기 시작한 것은 그때부터였다.대학을 졸업한 아인슈타인에게 앞길은 그리 평탄하지 못했다. 일자리가 없어 고등학교 ... ...
전인미답의 산을 오르는 화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물질을 합성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유기합성의 발전은 인간 유전자 지도 작성계획, 생물
공학
, 인공지능 등과 같이 과학의 한계가 어디인가를 묻게 하며, 우리에게 미래에 대한 기대와 두려움을 동시에 안겨준다. 19세기 말 빅토리아 시대의 영국 지식인이 말한 것처럼 “과학은 멈출 수 없는 증기 ... ...
술의 세기는 신경전달물질의 차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소비량과 분해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연구자들은 유전
공학
적인 조작을 통해 한 집단의 쥐에는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뉴로펩티드 Y를 생산하지 못하도록 했고, 또다른 집단의 쥐에는 이 신경전달물질을 정상보다 많은 양을 생산하도록 했다. 이들에게 맥주에서 소주의 ... ...
인간복제 브레이크 걸 제도가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이런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일례로 지난달 12일 '뉴욕타임스'는 한 생명
공학
회사가 암소 난자와 사람의 세포핵을 성공적으로 융합시켰다고 보도해 충격을 던졌다. 만일 이 반인반수의 수정란을 자궁에 이식한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연구진은 사람의 조직을 갖춘 동물을 잘 활용하면 ... ...
20세기 물리학 혁명의 출발점 X선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조국인 네덜란드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고,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에서 기계
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러나 물리학자인 쿤트를 만나 전공을 물리학으로 바꿨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의 물리학교수로 재직하던 1895년 11월 8일이었다. 당시 물리학계를 이끌어가던 J.J톰슨과 같은 학자들이 ... ...
이전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