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이"(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 4. 마이크로·나노세계 여는 신기술들과학동아 l1995년 10호
- 할 때 사용한다. 플라스마 현상법을 적용하는데, 플라스마에 대한 재료의 화학반응 차이를 이용하여 현상한다. 이보다 더 높은 분해능(high resolution)을 얻고자 할 때는 자기 현상레지스트(self-developing resist)를 사용한다. 이 방법의 특징은 방사물에 노출된 부분의 원자나 분자들이 기체화돼 증발하므로 ... ...
- 1. 21세기 기술혁명 꿈꾸는 사람들과학동아 l1995년 10호
- 같은 맥락에서 이해한다. 하나는 ${10}^{-6}$이고 하나는 ${10}^{-9}$이니 특별히 질적인 차이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하다. 그러나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 마이크로는 이미 과학자들이 정복한 현실의 세계이고, 나노는 공상의 세계이다. 과학기술계에서는 적어도 그렇다 ... ...
- 2. 로봇의사가 몸속 누비며 진찰과학동아 l1995년 10호
- 구동체는 마이크로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유체의 부피변화와 재료의 선팽창률 차이에서 나타나는 변형을 활용하는 것이다. 에너지의 효율이 떨어지고 방열 문제로 인한 제약은 크지만, 큰 힘을 얻는데는 유용하다. 대표적인 예가 잉크 분출속도가 수십 마이크로 초인 잉크젯 프린터의 ... ...
- 1. 3.1 단점 보완, 사용하기 쉽고 빠르다과학동아 l1995년 10호
- 큰 차이는 강제적으로 멀티태스킹을 하느냐, 아니면 협력적으로 멀티태스킹을 하느냐의 차이다.쉽게 설명하기 위해 술자리에서 하나의 잔으로 여럿이 술을 돌려 마시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비선점형 멀티태스킹은 서로 협력을 해야만 술을 모두 마실 수 있는 상황에 비유할 수 있다. 만약 한 ... ...
- 5 유전자 지문, 범인 색출·친자감별의 해결사과학동아 l1995년 09호
- 반복되는 염기 단위는 2개부터 수백 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반복되는 수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는데 이를 VNTRs(가로반복서열)라 한다. 이러한 염기서열을 가진 부위는 그 크기가 개인마다 다양하기 때문에 초위성 부위(minisatellite) 또는 초변이부위(hypervariable region)라 불린다.개인마다 고유한 ... ...
- 비타민 8가지 궁금증 풀이과학동아 l1995년 09호
- 제제(영양제)에 일부 미네랄을 포함시키기도 한다.그러나 이 두 그룹 사이에는 명백한 차이점이 있다.첫째, 비타민은 유기물(탄소를 포함하는)인 반면 미네랄은 무기물이라는 것이다.둘째, 비타민 중에는 인체에서도 인체요구량 만큼 충분치는 않더라도 일부 생합성되는 것이 있고, 인체는 ... ...
- 1 생명의 설계도, 방대한 유전정보 입력과학동아 l1995년 09호
- 에서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훨씬 광범위하게 개인별로 큰 차이를 보여주는데, 이들의 차이는 제한효소 길이 절편 다형성(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이나 반복 부위 다형성(Repeating Unit Polymorphism) 등의 현상에서 비롯됨을 알게 되었다.최근의 DNA 조작기 ...
- 3 쥐라기 공룡, DNA 조작으로 되살릴 수 있나과학동아 l1995년 09호
- 무엇인지 생각해 보도록 하자.왜 호박 속 모기인가?생명현상으로서 DNA는 정보의 질적인 차이로 무생물적 정보와 이미 구별되지만 ‘부활'이란 말은 보다 적극적으로 개체성 획득을 전제하고 있다. 먼저 DNA가 있고 그것으로부터 이미 소멸된 개체의 독특한 정보를 발현시키는 과정이 있다는 것이다 ... ...
- '나비 천국' 계방산·발왕산과학동아 l1995년 09호
- 조가 '싹쓸이'한 것 아니냐"는 농담을 주고 받기도. 이날 채집한 나비는 어제와 비교해 큰 차이점은 없었다.점심 경 채집을 끝내고 숙소로 돌아온 탐사진은 동정 과정에서 이른바 '특정 야생 동·식물'로 분류돼 원칙적으로 포획이 금지된 대왕팔랑나비 등을 구분해 냈다.특정 야생 동·식물이란 ... ...
- 창고속의 망원경을 밖으로 끌어내자과학동아 l1995년 09호
- 특징은 프로와 아마추어의 절묘한 조화. 천문학에서의 아마추어와 프로의 차이는 실력의 차이가 아니라 다루는 분야가 다르다는 것이 특징. 프로는 천문학 전반에 걸친 이론적 체계를 잡는 학문이라면, 아마추어는 직접 별을 관측하고 그 데이터를 확보하여 천문학이 다루는 영역을 넓혀가는 역할을 ... ...
이전4634644654664674684694704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