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동차
차량
탈것
카
승용차
수레
티
d라이브러리
"
차
"(으)로 총 5,439건 검색되었습니다.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원에 스케치하더라도 그다지 부담이 가지 않지만, 분해능이 높은(실은 50~60mm급 조
차
도) 망원경을 사용해서 달전체면을 한개의 작은 원에 그리려면 망원경 시야에 보이는 달의 지형이 워낙 복잡해 쉽게 포기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눈에는 보이지만 작은 지형들은 주관적으로 생략해가며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동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했지만 당시 학계의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2
차
대전이 끝난 후 전쟁에 사용됐던 많은 과학장비들의 용도는 자연히 순수한 과학연구용으로 돌려지게 되었다. 특히 해군에서 사용했던 전자장비들이 바다의 조사에 투입 됐다. 그때까지 지구연구의 대부분은 ... ...
인간의 눈을 흉내낸 망막소자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대단한 힘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현재 전자계를 지배하고 있는 디지털방식은 순
차
적이고 논리정연 하지만 유연성이 전혀없어 예상치 못한 돌발상황에 전혀 대응하지 못한다. 반면에 신경회로의 아날로그 방식은 제멋대로 변화하는 상황에 당황하지 않고 여유있게 대응한다 ... ...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국내 뿐아니라 전 세계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킬 것이 틀림없다. 논리적인 논쟁을
차
치하더라도 남해의 어느 해저에 자신을 찾아줄 발굴자를 기다리며 남아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다.부각되는 해중기술바다에는 유적이나 선박과 함께 있는 보물이 아닌 많은 또다른 보물이 있다. 해양자원은 ... ...
불볕 더위와 장마를 배후조종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느껴지는 현상인지도 모른다. 사실 봄에는 겨울보다 더 많고 더 자주 비가 내린다.
차
츰 더워진 지표면 위로 그전처럼 제트기류의 하강이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시베리아 고기압은 덜 발달하고 또 발달했다 하더라도 곧 약화되곤 하기 때문에, 날씨는 보다 가변적으로 되는 것이다.여름이 되면 ... ...
비유클리드기하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둘을 구분해 각각 쌍곡선적 기하학, 타원적 기하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이 기하학들의
차
이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삼각형의 안각의 합이 서로 다르다.∠A+∠B+∠C=π(유클레이데스) ∠A+∠B+∠C<π(로바체프스키와 볼리야이) ∠A+∠B+∠C>π(리만).또 곡률을 M이라 할 때 ... ...
4.7종의 기체가 대기를 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받는 태양복사에너지를 계산하고 동시에 지구가 복사하는 지구복사에너지를 구해 그
차
이를 산출함으로써 지구기온 변화를 조사하던 종래의 모델에서 탈피, 인공위성(기상위성)자료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실제로 1974년 미국의 님부스 기상위성이 관련자료를 얻기 위해 발사 된 이래 인공위성올 ... ...
남북의사들, 원폭피해자 구제에 함께 나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심장의사 버나드 로운과 당시 하버드대에 교환교수로와있던 소련의 심장병 전문의 게니
차
조프가 공동제안해 만든 의사중심의 반핵평화운동 단체다. 80년의 창립총회때는 회원국 수가 미·소등 5개국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79개국에 의사 과학자등 회원 20만명을 확보하고 있다.그동안 의사의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등장하는 미국의 노예들은 각자 취사를 하고 있다. 주인과 노예는 먹는 것도 달라야 한는
차
별 의식이 명백히 드러난다. 하지만 동양인은 비록 신분이 다를지라도 먹는 것에는 귀천이 없다는 사상이 근본적으로 배어 있다.끝으로 명절이야기 한 토막을 해 본다.서양 사람들은 부활절을 대단한 명절로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 만이 남아 있다. 지금도 연간 10만㎢의 삼림이 없어진다고 한다. 이것은 열대우림지역이
차
지하고 있는 면적의 약 1%에 해당하며, 남한 면적을 윗돈다.열대우림지역의 1% 벌채만으로도 이곳에 사는 생물종의 0.2~0.3%가 매년 사라지게 된다고 한다. 적게 잡아서 열대우림지역에 2백만종의 생물이 살고 ... ...
이전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