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진행되는 과정을 바라보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하얀색 캔버스에 흩어져 있던 작은
점
들이 요동을 치다가, 갑자기 여기저기서 스위스 치즈 안에서 볼 수 있는 거품 같은 빈 공간이 생긴다. 그리고 그 가장자리에서 필라멘트 같은 구조물들이 성장하면서, 어두운 저녁 거리에 가로등이 켜지듯이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유다.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기네스 기록도 우주 최고의 온도로 빅뱅을 꼽고 있다는
점
이다. 인류가 직접 경험하지 않은 137억 년 전의 사건이 공식 기록에 올라 있는 셈이다.이름 릭(RHIC)소속 미국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특징 ‘기록 상’ 가장 뜨거운(4조℃) 실험실. CERN의 LHC에게 1위 자리 내줘 ... ...
Part 4. 와편모류 어떻게 바다의 지배자가 됐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발견된 신종 와편모류 파라짐노디니움 시화엔스(Paragymnodinium shiwhaense). 몸 속에 회색 반
점
이 수많은 염색체를 보유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한국에서 발견된 아열대성 와편모류 쿨리아 카나리엔시스(Coolia canariensis). 이 와편모류가 발견되는 바다는 아열대성 바다로 판단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조석파괴 현상이 일어난 지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그런데 흥미로운
점
은 거대질량 블랙홀의 질량이 태양의 1억 배가 넘는 경우에는 가까이에 별이 다가가도 조석파괴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별은 블랙홀로 그대로 떨어진다. 덩치가 고만고만한 거대질량 블랙홀들은 별을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있을까. 그리고 진화의 끝에 다다른 생물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생물학자들은 진화의 정
점
에 올라선 ‘가상의 생명체’에게 ‘다윈의 악마’라는 이름을 붙였다. 진화론을 주장한 찰스 다윈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이 악마는 게임에 빗대면 완성형이나 최종병기와 비슷한 개념이다.오래 전부터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사회학 용어로 표현한 꿀벌의 행태를 3000원‘초개체’라는 말로 나타내고 있다는
점
이 이색적이다.마지막으로 한 마디. ‘꿀벌의 민주주의’에는 현장에서 생물학을 연구하는 학자의 자부심이 묻어나는 대목이 하나 있다. 자신의 꿀벌 배설물 지식이 미국 정보국과 구소련 사이의 화학무기 ... ...
문과냐 이과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관심 있는 분야가 생기면 관련된 다큐멘터리를 찾아서 보면 된다. 그리고 느낀
점
이나 의견을 정리해서 감상문을 써 두면 좋다. “NHK, BBC, KBS 등 각 방송사에서 좋은 다큐멘터리를 많이 만든단다. EBS 다큐프라임도 좋아. 수학의 발전도 알 수 있고 정치도 알 수 있고 고릴라에 대한 것도 알 수 있어. ... ...
실험 능력, 창의적 사고력을 키워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확인할 수 있다. 물이 공기보다 훨씬 더 밀한 물질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결과적으로 초
점
거리가 길어질 것이기에 물 속에서 눈을 뜨고 본다면 원시에 가까운 상을 볼 것이다. 실제로 물 속에서 눈을 뜨고 물체를 본 경험이 남아 있다면 이를 연결시켜서 설명할 수도 있겠다.이어지는 2-3)번 문제나 2-4 ... ...
[6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단단히 붙들어 맨다. 이 기사에서 아쉬운
점
은 좀 더 과학적인 내용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
이다. 기사 말미에 나오는 ‘좀 더 높은 소리로 유리 같은 물건을 깰 수 있지 않을까’에 대한 해답을 제시했으면 어땠을까. 실제로 깰 수 있는지, 어느 정도 주파수를 지닌 음파가 깰 수 있는지에 대해 ... ...
서울·런던 지하철 왜 비슷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비율이 50%로 예외였다.가지 노선은 중심의 넓이보다 약 두 배 정도 길게 뻗어나왔다는
점
도 같았다. 중심의 넓이 가지 노선도 길어졌다. 역 수가 많을수록 가지도 많아졌는데, 가지 노선 수를 제곱하면 대략 역의 수와 비슷해졌다. 모스크바만 예외였는데, 가지 노선이 세 배 정도 길었다.연구팀은 ... ...
이전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