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2차 세계대전의 승패를 좌우한 최초의 항생물질 페니실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실험했다. 그리고 배양접시를 실험대 구석에 방치해 둔 채 휴가를 떠났다. 당시 바로
아래
층 실험실에서는 곰팡이 알레르기 치료방법을 연구하고 있었다. 그 실험실의 곰팡이가 플레밍 연구실 창문을 넘어와 배양접시를 오염시켰다. 마침 날씨가 무덥지 않았으므로 곰팡이가 잘 자랐고 이때 자란 ... ...
워드프로세서로 1년 계획 세우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기능을 이용해 어떻게 디자인하느냐가 더욱 중요하다. 먼저 스케치를 한 후 그것을
아래
아한글의 어떤 기능을 이용해 만들 것인가 고민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있는 지름길이다"라고 조언한다.달력 형식이든 다른 모양이든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해 일정표를 만드는데는 별 문제가 ... ...
허블통신 크리스마스 특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1.5배가량 큰 목성 최대의 위성. 가니메데의 표면은 암석과 얼음으로 돼 있으며, 그
아래
에는 물과 얼음으로 이루어진 맨틀이 있고, 중심부에는 암석질의 핵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 ...
모험 스포츠의 백미 번지점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위험한만큼 짜릿함도 더하다"며 이 방식에 열광한다. 반면 미국식은 신체 위
아래
를 연결하는 안전벨트를 가슴에 묶고 뛰어내린다. 이는 발목을 묶는 것보다 더 넓은 면적을 묶음으로써 안전하게 체중을 지탱할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안정감도 제공해 번지점프가 본격적인 스포츠로 자리 잡을 수 ... ...
냉동인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아들이 청년이 돼 스키를 타러 갔다네. 그런데 커다란 바위 위에서 샌드위치를 꺼내다 저
아래
얼음 속에 누군가 있는 것을 보고 소스라치게 놀랐어. 마치 거울 속의 자기를 보는 것 같았거든. 시체는 얼음 속에서 완벽하게 보존돼 있었는데 그가 바로 자기 아버지였던 거야. 그런데 아버지의 모습이 ... ...
노벨상 '속성재배'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타기 위해 확률 높은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선정에 영향력 있는 사람을 유치한다는 전략
아래
세워지는 것이다. 이것은 마치 드라마를 제작할 때 테마와 감독을 정하는 일에 빗댈 수 있다. 이미 제작을 맡은 청와대와 극본을 쓴 과기처 사이에 합의가 있었음은 물론이다.그러나 제작자와 작가가 ... ...
비만 8가지 궁금증 풀이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줄었다 늘었다 반복되는 현상을 '요요현상'(yo-yo phenomenon, 요요는 실을 손가락에 걸고
아래
로 내리면 다시 올라오는 아이들 장난감)이라고 한다.비만 환자와 고등하교 레슬링 선수, 그리고 동물 실험에서 체중의 감소와 증가가 반복될수록 체중 감량이 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쥐들은 ... ...
짭짤하게 활용되는 유틸리티 3가지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선택한다. 어떤 드라이브에 만들 것인지를 물어오면 A:이라고 답한다. 그러면 곧바로
아래
의 3개 파일을 디스켓에 저장한다.partinfo.dat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 정보bootinfo.dat 하드디스크의 부트 섹터 정보cmosinfo.dat CMOS SETUP 정보④ 하드디스크에 문제가 생기면 하드디스크에 있는 disktool.exe도 ...
지구과학- 춤추는 종이뱀의 비밀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막대자의 중앙을 끈으로 묶고 양 끝에는 종이 봉투를 거꾸로 매단다.② 한쪽의 종이 봉투
아래
에만 촛불이나 전기 스탠드를 놓아 봉투 속의 공기를 가열한다.한쪽 봉투안의 공기가 데워짐에 따라 봉투는 위로 올라가고 막대자는 수평을 잃어 기울어진다. 춤추는 종이뱀에서와 마찬가지로 더운 ... ...
남극 인터넷과 연결된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하늘을 관측하기에 아주 이상적인 곳이다. 또한 많은 천문학적 관측물들이 지평선
아래
로 지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관측 가능하다.국립과학재단(NSF)은 이 프로젝트에 GOES-3라는 기상위성을 이용할 계획이다. 일반적인 위성은 적도 상공을 돌고 있기 때문에 그 궤도에서는 극점을 볼 수 없다. ... ...
이전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