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
전부
온갖
모두
죄다
전반
전
d라이브러리
"
모든
"(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산타는 소시지 포장을 좋아해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우리 세상을 제대로 설명하려면 4차원 정도가 아니라 11차원이 필요하다.심지어
모든
것을 설명해내려는 초끈이론은 26차원을 요구한다. 하룻밤의 기적을 일으키는 산타는 이렇게 다차원의 초공간을 이용하는 건지도 모른다.이 경우에도 어느 범위까지는 소시지처럼 한 줄로 늘어세우는 게 좋은 ... ...
퍼펙트 센스 -
모든
감각을 잃은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알 수 없는 바이러스의 등장, 통제되지 않는 감염질환등은 현대인의 잠재의식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인류를 위협하는 위험요소다. 1980년대 AIDS가 그랬고 최근에는 ... 보게 한다. 극한의 상황에서 나와 우리와 사회가 어떻게 변하게 될지 상상하고 싶은
모든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은 영화다 ... ...
“과학과 인문 겸비한 인재 키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무엇이 다른가?수학·과학 교과교실제 학교이면서 과학중점학교이기 때문에
모든
과학, 수학 수업을 각 교과교실에서 한다. 그래서 학생들의 수업 집중도가 높다. 과학중점 학교의 본래 취지를 100% 따르기 위해 교과교실에 갖춰진 기자재를 충분히 활용하려고 노력한다. 이런 점이 좋은 평가를 받은 ... ...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우리 앞에 나타났을 터인데 말이다.우리는 행성 지구의 시민으로써 지구를 잘 보전하고
모든
지구인이 함께 어우러져 사는 법을 터득해 앞으로 닥쳐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정말 광활한 우주에 고등 문명을 이룬 생명체가 현재 우리밖에 없다면 어떻게든 살아남고 번영해서 인간의 가치와 문명을 ... ...
어느 킬러의 인정 투쟁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하지만 주변사람들로부터 거부당하는 것만큼은 너무나 참기 힘들다. 그래서 그는 주변의
모든
사람들에게 사정없이 끌려 다니면서도 희생자 역할을 그만두지 못한다. 그를 배신하는 것도 모자라 죽이려고 덤비는 동료들에게조차 그는 최선을 다한다. 이유는 한 가지, 그들이 자기를 싫어할까 ... ...
서울대 정시? 이렇게 준비했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친 이후였어요. 기출문제를 많이 풀었습니다. 그냥 문제만 푸는 게 아니라
모든
문제를 실전이라 생각하고 직접 썼습니다. 서울대 기출문제뿐만 아니라 연세대, 고려대 등 다른 대학의 기출문제도 매일 풀었습니다.학교에서 생물Ⅱ를 선택하지 않아서 그 점이 가장 걱정이었어요. 짧은 시간에 ... ...
Part 3. 뉴로피드백으로 명상 쉽게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원리에 따라 뇌파를 조절해서 마음의 상태를 바꾸는 실험을 최초로 했다. 당시는 인간의
모든
것이 유전자에 의해 이미 결정돼 있다는 결정론이 우세하던 때였다. 카미야 박사는 이러한 결정론적인 사고를 싫어해 자유로운 인간의 의지를 실험해보고 싶었던 것이다.그는 대학원생인 리처드 바크 ... ...
과학영웅과 ‘미래 예고장’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과학계의 영웅들을 소개하는 홈페이지인 ‘사이언스히어로즈(scienceheroes.com)’를 운영하는 빌리 우드워드는 어려서부터 통풍에 시달렸다. 그는 소염제를 ... 있다. 미래에 대한 호기심과 궁금증으로 가득한 독자들에게 스콧은 이렇게 말한다.“당신이 읽는
모든
것이 곧 현실이 될 것이다 ... ...
신기한 광섬유 제작소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국내 대학연구실 중 모재를 만드는 것부터 광섬유를 직접 뽑는 것까지, 광섬유 제작의
모든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곳은 이곳뿐이다.광섬유는 계속 진화 중실험실 밖 창고에서 수많은 광섬유 타래를 볼 수 있었다. 주로 투명한 색이 많았지만 노란색, 초록색을 띤 것도 보였다. 특수광섬유 ... ...
애벌레 몸속엔 부동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수는 없다. 복잡한 생활과정을 알아내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고, 아직도 거의
모든
종의 생활사가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 그래서 많은 학생들과 아마추어 애호가들이 채집, 사육한 정보가 유용한 자료가 된다. 세심히 채집하고 사육하고 철저하게 관찰하는 일은 즐거우면서도 동시에 ... ...
이전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