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성공적으로 측정했다. 자기장 속에서 전자가 휘는 정도를 보면 m/를 구할 수 있다. 필자가 대학생일 때 같은 실험을 통해 전자의 질량과 전하량의 비를 구했던 기억이 난다. 불 꺼진 실험실에서 희미하게 빛나던 전자의 방전 불빛은 정말 예뻤다. 그리고 우리가 물리학을 이용해 이토록 작은 입자의 ...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톡톡 떨어지는 물방울도 연료로 쓸 수 있어요. 전자부품연구원 권순형 책임연구원과 서울대학교 김연상 교수팀이 함께 연구 중인 물방울로 빛을 밝히는 투명*소자가 그 주인공이지요.연구팀은 음전하로 대전된 소자를 만들었어요. 물방울은 원래 전기적으로 중성이지만, 이 소자의 표면 위에 ...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씨앗을 발견한 사람이 있다. 칼 구스 잰스키가 통신 기술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건 대학을 막 졸업할 무렵의 일이었다. 당시 미국 오클라호마대 학장이었던 아버지는 아들에게 발전가능성이 큰 통신 분야를 소개하며 공부해 볼 것을 권했다. 잰스키는 아버지의 조언에 따라 위스콘신대에서 ... ...
- [생활] 이종필 교수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달에 한 번, 5시간씩 총 12번의 수학 강의를 진행했다. 고등학교 수학부터 미적분, 그리고 대학 수학과 물리학을 거쳐 일반상대성이론의 중력장방정식까지를 푸는 과정이었다. 이 교수의 ‘수학아카데미’ 강의에는 일반인 58명이 신청했다. 수학과는 거리가 먼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이 중 전 ...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개굴~ 개굴~ 개구리, 노래를 한다~♪ 아들 손자 며느리~ 다~ 모여서~♬’개구리가 우는 계절이 돌아왔어요! 겨우내 딱딱하게 언 땅에서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들은 봄이 되면 앞다투어 즐겁게 노래하기 시작하지요. 그런데 정말 가족이 다 모여 반가워서 노래할까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 걸까 ... ...
- 순간 포착! 아기별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포함된 국제공동 연구팀에서 관찰했답니다.이에 앞서 2013년, 김순욱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와 김정숙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은 원시별에서 뿜어져 나오는 분출물의 모양이 변하고 있다는 걸 처음으로 관측해 발표했어요. 무거운 별들이 탄생하는 지역(W75N)을 관측한 결과로, 태어난 지 얼마 ...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자기 자신의 의료 정보를 잘 알지 못한다. 인제대 서울 백병원 신장내과와 서울대 의과대학 정보의학실, 시스템 바이오 정보의학 국가핵심연구센터는 지난 3월, 신장병 환자가 본인의 의료 정보를 스마트폰에 저장해 언제 어느 병원에서든 정확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아바타 빈즈’라는 ... ...
- 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과학동아 l2015년 08호
- DNA의 ‘사용법’을 바꿔 놓은 것이다. 과학자들은 그 사용법을 후성유전학이라고 부른다.대학에서 운동을 시작한 서영 씨의 다리 근육은 산성화(운동을 오래 못하게 하는 원인)를 초래하는 DNA를 ‘끄고’, 염증을 치료하는 유전자는 ‘켠다’(2파트 참조). 영채 씨와 영은 씨처럼 성격이 달라도 DNA ... ...
-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다양한 과일즙을 첨가한다. 이런 과일 소주가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10~20여 년 전에도 대학가에 과일 소주 열풍이 불었다. 다만 그 때의 과일 소주는 기업에서 생산하는 게 아니라 각 주점이 소주에 과일을 담가 직접 만드는 것이었다. 요즘 시판되고 있는 과일 소주는 직접 만든 것 보다 뒷맛이 ...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것은 1980~ 1990년이다.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기 때문에 연구도 덜 된 것이다.노 : 내가 대학을 다니던 1980년대에는 히스톤 단백질의 역할을 단순히 DNA를 감는 실패 정도로만 이해했다. 이것이 DNA의 사용을 조절한다는 것을 알게 된 건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경험은 어떻게 저장되고 전달되는가송 : ... ...
이전4634644654664674684694704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