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3 팔과 손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압력 분포 및 물체 형상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배열센서(array sensor)와 손가락
끝
의 직후 면에서 손가락과 물체간의 결과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힘-토크 벡터 센서의 두가지 종류로 크게 구분된다.센싱 알고리즘을 이용해 파지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물체를 미끄러짐이나 ... ...
사라진 문화재 컴퓨터 그래픽으로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데 큰 역할을 했다. 선조들의 과학성 정당히 평가돼야3차원 부재들의 컴퓨터 입력이
끝
난 후 각 부재의 위치가 컴퓨터 내에서 그래픽으로 표현됐다. 하지만 첫 시도에서 각 부재는 잘 맞지 않았다. 1층과 2층의 간격이 시각적으로 너무 떨어져 있었고, 전체적으로 탑이 높아 보였던 것. 부실한 도면이 ... ...
2 머리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기능은 양팔
끝
의 다지(多技)손에 인공피부 형태로 장착된 다기능 센서에 의해 인간이 손
끝
으로 느끼는 여러 감각기능을 수행한다. 고기능의 센서 이용은 휴먼 로봇이 수행하는 작업의 질을 직접적으로 결정한다.한편 휴먼로봇의 청각 부분은 작동자와 중앙제어기관의 음성 인식기술이 주요한 ... ...
1 IQ, 머리 좋고 나쁨의 절대 기준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순간적으로 마음에 떠오르는 판단력에서부터 순간적으로는 알 수가 없어도 오랜 숙고
끝
에 겨우 어떠한 판단에 도달하는 마음의 작용까지가 모두 포함된다.결국 인간의 정신에 관한 연구는 구름잡는 일과도 같다. 사람의 성격에 관한 연구를 예로 들어 생각해보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그 사람의 ... ...
5. 동성애, 생물학적 근거 있나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나타내는 특정 배열)를 알아본 결과 40쌍의 동성애형제중 약 80%가 X 염색체의 긴 쪽
끝
, q28부분에서 상대와 같은 마커를 가졌음을 알 수 있었다는 것.이에 따라 연구는 성경향을 일정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유전자에 맞추어지게 됐다. 그같은 유전자를 찾는 두가지 접근방법으로 쌍생아 및 가족 ... ...
포항 방사광가속기 지상공개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클라이스트론)에서 마이크로파를 공급해 전자다발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선형가속기의
끝
부분에서는 빛의 속도(초속 30만㎞)의 99.999997%까지 가속된다. 이를 에너지로 표현하면 20억eV. 우리가 늘상 사용하는 1.5V 건전지 14억개를 직렬로 연결시켜 얻을 수 있는 에너지다. 전자볼트(eV)란 하나의 전자가 ... ...
2. 21세기 충격 예견-발간 앞둔 '미래로 가는 길'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도구 중에서 컴퓨터류의 디지털 도구가 차지하는 역사적 위치는 독특하다. '손가락
끝
에 있는 정보(information at your fingertips)'를 가능케 한 컴퓨터 산업이 정보고속도로의 건설 이후 모든 산업의 중심에 설 것이라고 믿는 그는 사람의 주거 공간이 앞으로 어떤 방식으로 변할지 설명하기 위해 '디지털 ... ...
생물 - 식물의 호르몬, 꽃눈 형성·생장 촉진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최대로 생장하는 옥신의 농도에서는 뿌리나 눈의 생장은 오히려 억제된다.▶ 줄기
끝
에서는 옥신이 많은 아래쪽의 생장이 촉진되어 줄기가 위 쪽으로 굽어 자라지만 뿌리에서는 아래쪽이 생장이 억제되어 아래 쪽으로 굽어 자란다 ... ...
곤충 연구하며 자연의 신비 캔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콩밭에서 잡아온 여치나 베짱이를 그 속에 가두고 오이껍질 등으로 수분을 갈아주며 추녀
끝
에 매달아 놓았다. 그러면 베짱이와 여치는 잘 울어 주었다.소학교 때는 학교길에 강가 모래사장에서 명주잠자리의 애벌레인 개미지옥이 숨어 있는 작은 모래웅덩이를 파헤쳐 그 속에 숨어 있는 벌레를 찾아 ... ...
기초과학 특강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해 5월부터 연재됐던 기초과학특강이 이 달을
끝
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수험생들의 기초과학실력 양성과 일반인의 기초과학 이해 증진에 미력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는 바람이 이 난을 이끌어오게 한 원동력이었다.이제 기초과학특강에 대한 평가는 독자들의 몫이다. 과학동아는 신년에도 ... ...
이전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