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6,668건 검색되었습니다.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11
V자 모양을 그리고 있는 히아데스 성단이 있다.플레이아데스에는 보일 듯 말 듯 깜박이는
작은
별들이 ‘물음표(?)’ 모양으로 모여 있는데 우리 할머니들은 ‘좀생이별’이라고 불렀다. 플레이아데스가 몇 개의 별로 보이는지 세어보자. 5-6개가 보인다면 보통 눈, 그보다 많으면 밝은 눈이다. 눈이 ... ...
교과서 실험 이의 있습니다
과학동아
l
199911
이것이 교과서가 의도한 것이었을까. 정말 교과서의 의도가 잉크는 밀도가 커서 밀도가
작은
물 아래로 가라앉고, 오랜 시간을 두었을 때 잉크가 물 속으로 골고루 퍼져 나간다는 것으로부터 물 또는 잉크분자가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추리하도록 하는 것일까. 그것은 아닐 것이다.교과서의 ... ...
북극에서 온편지
과학동아
l
199910
전체 모습이 한눈에 들어왔고, 배 위에서 느낄 수 없었던 해빙의 기기묘묘한 굴곡이 마치
작은
산처럼 보였다. 해빙은 강렬하게 내리쬐는 햇빛에 계속 녹고 있었다. 해빙 웅덩이 근처에서는 눈 녹은 물방울 소리가 정적을 뚫고 내 귀를 자극했다. 해빙들 사이의 갈라진 틈에서 노출된 바닷물은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10
경쟁을 통해 한가지 방향으로 발달하는 경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코가 큰 사람과
작은
사람이 섞여 있는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집단의 구성원들은 어느 한쪽의 코를 가지는 형태로 진화한다. 한 계산에 따르면 집단의 12% 정도가 가진 유전형질은 3백년(약 10세대)이 지나면 사라진다고 한다. 1백명이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10
이음새는 흔히 화성암이나 변성암으로 용접돼 있다. 이 용접부는 덜 아문 상처와 같아서,
작은
충격에도 다시 떨어질 수 있다. 특히 4-5천만년 전에 있었던 태평양판의 운동 변화가 일본 주변부에 연약대를 만들었으며, 결국 2천3백만년 전 일본은 더이상 유라시아판에 붙어있지 못하고 태평양쪽으로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10
그렇기 때문에 합성 의약품의 개발이 항상 성공적이지만은 않다.1950년대 말에 독일의
작은
제약회사였던 그뤼넨탈은 다이아제팜이나 바비탈과 구조가 매우 비슷한 물질을 합성한 후 ‘탈리도마이드’라고 이름지었다. 그뤼넨탈은 엄격한 임상시험을 거치지 않고 단순히 분자의 구조가 알려진 ... ...
피타고라스의 음정 이론
과학동아
l
199910
8, 10 : 9, 16 : 15로 다르기 때문이다. 거의 비슷한 처음 두 가지를 각각 온음이라 하고, 훨씬
작은
마지막 경우를 반음이라고 한다. 그런데 순정률에서는 두 반음의 합이 온음이 되지 않는다는 결정적인 약점이 있다. 즉 반음에 대응하는 진동수의 비인 16/15을 두 번 곱하면 16/15×16/15≒1.138로 온음에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10
크고
작은
9개의 은하를 볼 수 있다. 별자리 중앙 아래에는 우리 국부은하군의 구성원인
작은
은하 하나와 몇 개의 구상성단으로 이루어진 공 모양의 화로은하계가 있다.10월의 천문현상이달은 찬란히 빛나는 행성들로 가을 밤하늘이 밝아질 것 같다. 가장 시선을 끄는 것은 목성과 토성이다. 목성은 ... ...
1. 20년 후 한국인 체형
과학동아
l
199910
한 문헌에는 사척단구(四尺短軀)와 육척장신(六尺長身)이라는 말이 등장한다. 4척이면
작은
키이고 6척이면 큰 키라는 의미다. 척(尺)은 약 30cm 정도의 길이를 의미한다. 그렇다면 4척(1백20cm)과 6척(1백80cm) 중간인 5척(1백50cm)이 조선시대 보통 사람의 키임을 추측할 수 있다.현재까지의 자료에 따르면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
과학동아
l
199910
알아냈다. 화성까지의 거리를 이용해 카시니가 계산한 태양까지의 거리는 실제보다 약 7%
작은
값이었다.영국의 에드먼드 핼리는 금성이 태양면을 지날 때 유럽 각지의 천문대와 멀리 인도의 케이프타운에 관측단을 보내 태양까지의 정확한 거리를 구하고자 애썼다.오늘날에는 달과 화성의 표면에 ... ...
이전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