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2. 독성물 탐지하면 빛 발하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역할을 분담해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또한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대학과
연구소
, 기술을 실용화하고 산업화하는 기업, 연구결과의 적용을 위해 제도화와 정책 반영을 담당하는 정부 모두의 공동 작업이 중요하다.사용했던 물은 소중한 수자원이며 이를 되살리는 기술은 여러 ... ...
에피소드로 알아보는 빅뱅우주론 3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이 문제에 관심도 없었던 공학자들이 최초로 발견했다. 주인공은 1965년 미국의 벨
연구소
에서 근무하던 펜지아스와 윌슨이었다. 이들은 원래 정밀한 전파망원경을 사용해 전하늘을 관측하며 통신위성과 간섭현상을 일으키는 전파신호를 측정하려 했다. 그런데 예측 못하던 잡음이 사방팔방에서 ... ...
20세기 초에 나온 끈이론의 원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차원이 존재한다는 관측적 증거가 없다. 다만 2005년 가동하기 시작할 유럽입자물리
연구소
(CERN)의 거대 강입자충돌장치(LHC)에 기대를 걸고 있다. 입자들이 충돌할 때 촘촘히 말린 차원에서 발생하는 ‘메아리’를 탐지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이 모습이 실제로 괸측된다면 끈이론은 새 이론으로 큰 ... ...
천년왕국 신라는 숯으로 망했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높다. 신라 때의 숯은 대부분 참나무로 만들었을 것으로 짐작됐다. 1996년부터 국립문화재
연구소
가 경주 경마장 건설 예정부지를 발굴한 결과, 숯을 굽던 피리모양의 여러 가마가 확인됐다. 신라 중기 것으로 짐작되는 이 숯가마는 대량공급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이 중 한 가마에서는 안쪽에 많은 ... ...
사람의 혀를 대신할 전자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1월 9일자에 보도됐다. 전자혀를 개발한 주역은 브라질 상 카를루스에 있는 엠브라파 농업
연구소
의 안토니오 리울 연구팀.와인 맛의 미묘한 차이를 구별하는데 사람의 혀를 대신할만한 것은 없다. 하지만 사람의 혀는 한가지 맛이 배어 있거나 차이가 너무 미세하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이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가동되지 않는 실정이다. 다만 대전에 위치한 기초과학지원
연구소
가 다양한 극저온 장비들을 갖춰 국내 대학의 여러 교수들이 공동으로 연구팀을 만들어 연구에 매진할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한두대의 장비를 많은 사람들이 이용해야 하므로 그순서를 ... ...
남극 일부지역 얼음층 두꺼워져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있다는 연구결과가 ‘사이언스’ 1월 18일자에 발표됐다.미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
연구소
의 이안 조긴 박사와 산타크루즈 캘리포니아대의 슬라웨드 툴락직 박사의 공동연구팀은 특수 위성 레이더를 이용해 관측한 결과, 서부남극에 위치한 로스빙하의 얼음량이 1년에 2천6백억t 정도 늘어나고 ... ...
중력의 양자효과 처음 관측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아니라 점핑했다는 것이다.이번 연구결과는 많은 물리학자의 주목을 받았다. 미국립
연구소
의 입자물리학자 토마스 볼스는“중력의 효과가 매우 작은데도 실제로 측정할 수 있었다는데 매우 놀랍다”고 말했다 ... ...
4 세계 수준의 한국형 MEMS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관련 의공학을 전공했다. 박사학위를 취득한 1995년부터 5년 간 그는 서울대 반도체
연구소
에서 근무하면서 산업자원부의 G7 MEMS 과제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그는 MEMS를 처음 만났다. 기계공학, 생명공학, 그리고 MEMS를 모두 체험해본 셈이다. 그러기에 장교수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전문가들의 집단을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다양한 조직으로 분화되는 조건을 찾기 매우 힘들다. 포천중문의대 세포유전자치료
연구소
의 정형민 소장은 “탯줄혈액을 이용해 근육세포나 신경세포를 만든 연구사례는 있었다. 하지만 이들 연구는 수년 간에 걸친 시행착오의 결과였다. 탯줄의 중간엽 줄기세포는 아직까지 배아줄기세포에 비해 ... ...
이전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