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하기"(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통일을 준비하는 물 공학자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조재원 교수가 속해있는 북한물문제연구회는 북한의 물과 정수시스템을 연구하는 단체로, 올해 3월에 결성했다. 연구회에는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2명과 한국수자원공사 직원 1명, 그리고 조 교수까지 총 5명의 회원이 있다. 현재 회원을 모집 중이며, 10월 창립총회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연구에 나 ... ...
- [과학뉴스] 장거리 주자도 뛰는 건 괴로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지구 상에서 가장 빠른 장거리 주자도 42.195km를 뛰려면 두 시간이 넘게 걸린다. 그 긴 시간을 달리며 그들은 어떤 생각을 할까. 아무도 궁금해 하지 않았던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실험이 이뤄졌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노스리지 애슐리 셔먼 교수는 장거리 주자 10명을 선정한 뒤 녹음기를 부착시 ... ...
- [Info] 북극에 특이한 공생생물이 자라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지난 7월 29일부터 8월 5일까지, 청소년 5명이 북극 다산기지에 다녀왔다. ‘21C 다산 주니어’라고 불리는 이들 북극청소년연구단은 극지연구소가 엄격한 과정을 거쳐 선발한 세 명의 청소년과, 한국극지연구진흥회가 주최하고 동아사이언스가 주관한 제4, 5회 전국학생극지논술공모전에서 특별상을 ...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이처럼 과격한 주장을 한 이는 이탈리아의 신경외과 의사인 세르지오 카나베로 박사다. 황당한 주장 같지만, 그는 진지하다. 2013년 학술지 ‘외과신경학’에 척수를 깔끔하게 잘랐다가 붙이는 방법을 발표했고, 올해 2월에는 머리 이식의 구체적인 수술 계획도 밝혔다. 공여자와 수여자의 몸에서 피 ... ...
- [Fun] 영장류학자가 찾은 인류 폭력성의 기원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인간은 왜 유독 서로를 죽고 죽이는 걸까.’ 세계적인 영장류학자인 야마기와 주이치 일본 교토대 총장은 아프리카에서 유인원을 조사하며 큰 의문을 느꼈다. 고릴라나 침팬지는 같은 종의 동료를 살해하는 경우가 드물었다. 인간만이 전쟁과 대량학살을 저지른다. 우간다와 르완다, 콩고 민주공화 ... ...
- [Knowledge] 괜찮아, 지나간 일이야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우리의 삶은 후회 투성이다. ‘내가 그때 왜 그랬을까’, ‘만약 다른 선택을 했으면 어땠을까’라며 이불을 차는 순간들이 꼭 있다. SNS에서는 이런 행동을 이불을 찬다(킥)는 의미에서 ‘이불킥’이라고 부른다. 조용히 잠들어야 할 때 이불킥을 할 만큼 후회는 괴롭다.실제로 반복되는 후회는 우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時間 시간(때 시, 사이 간)때를 나타내는 글자 ‘때 시(時)’에는 해를 뜻하는 ‘날 일(日)’자가 포함돼 있다. 옛날에는 태양이 일정한 규칙을 갖고 움직이는 것을 보고 때를 알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글자인 ‘사이 간(間)’은 때와 때 사이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됐다. 우리가 흔히 섞어 쓰는 시간 ... ...
- [Photo] 전직 CFO의 눈에 비친 중국의 풍경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티에리 보르니에는 프랑스에서 경영전문대학원(MBA)을 졸업하고 뉴욕에서 7년 동안 제공공기관의 최고재무관리자(CFO)로 일했다. e메일 인터뷰에서 보르니에는 “내가 정말로 사랑하는 일을 시작하면 내 삶이 어떻게 될까”라는 생각을 했다고 전했다. 사진작가가 된 그가 향한 곳은 아무 연고도 없 ... ...
- [과학뉴스] 암살엔 역시 ‘모신나강’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영화 ‘암살’ 보셨나요? 많은 사람들이 일제 경찰과 친일 매국노를 처단하는 장면에서 카타르시스를 느끼고 여기에 열광하고 있습니다. 독립군의 저격수 안옥윤(전지현)이 날리는 ‘원샷원킬’은 특히 압권이지요. 그녀가 사용하는 모신나강(Mosin Nagant)은 구소련의 대표적인 저격총입니다. 1891년 ... ...
- [Life & Tech] 대선보다 치열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열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사회자(사)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 | 3D 디스플레이(3D)사 국민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2002년 즈음, 흑백이던 휴대전화 화면이 총천연색으로 바뀌던 그날을 기억하십니까. 그 이후 우리의 디스플레이는 꾸준히 발전해왔지만, 혁명이라 불릴만한 발전은 없었습니다. 그런데 드디어 디스플레이의 혁 ... ...
이전4624634644654664674684694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