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명도, 채도 분포를 정리했다. 작업 현장은 인위적으로 조명을 조절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사진
으로 찍어 조사했다. 설문조사로 작업환경의 색채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 사항도 조사했다.그 결과 작업 현장은 회색과 같은 무채색이 60% 이상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작업자들은 절반 이상이 단조롭고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먼지가 빛을 흡수하거나 산란시키기 때문이다.[➊ 행성간 우주먼지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 작은 씨앗(grain)이 여럿 뭉쳐 수 마이크로미터까지 자랐다.➋ 허블우주망원경이 찍은 말머리성운. 짙은 먼지가 성운 너머에서 지구로 향하는 빛을 막은 결과 검은 얼룩처럼 보이는데 우연히 해마의 머리가 ... ...
‘월하정인’에 뜬 눈썹 달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수 없다. 컴컴한 밤이지만 달이 아니라 해가 떠 있어도 이상할 게 없다. ‘월하정인’은
사진
이 아니라 그림이기 때문이다. 두 연인 사이에 흐르는 정이 전해지는 것도, 한 작품을 문학적, 예술적,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시도를 해볼 수 있는 것도 그림이기 때문이다. 세상에 딱 하나밖에 없어 영원하지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름을 바꾸게 된다. 지중해와 아프리카 서해안에서 여러 차례 잠수에 성공했다.
사진
은 미국 해군연구소가 개발자인 피카르 교수로부터 ‘트리에스테’를 구입해 개량한 ‘트리에스테 2호’. 해저 1만 916m까지 내려간 기록을 가지고 있다.20세기 초, 벨기에 브뤼셀대 물리학과 교수였던 어거스트 ... ...
아라뱃길 이야기마당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그 중 ‘아라뱃길 이야기마당’은 국민들이 보내준 사연과 그림,
사진
을 아라뱃길 벽에 새기는 행사다. e메일과 우편으로 작품을 보내면 자기 타일에 담아 귤현교 워터프론트의 벽에 붙일 예정이다. 30명 이상이 단체로 참여하면 경인 아라뱃길 사업본부에서 그리기 지도를 ... ...
운석 키트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수 있다. 운석을 활용해 재미있는 수업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상세한 설명서가 있다.
사진
만 보여주는 딱딱한 수업 대신 실물 운석을 만져보며 토론하는 즐거운 수업을 상상해 보자. 운석 키트는 9월부터 시앙스몰(www.scimall.co.kr)에서 만날 수 있다 ... ...
최종병기 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청나라 군대의 모습. 상세한 고증으로 당시 청나라 군사의 모습을 훌륭히 재현했다. (우)
사진
의 자세에서 시위에 화살을 얹는 부분인 오늬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쥐면 더 강하게 활이 날아간다.]곡사의 비밀은 ‘궁사의 모순’영화의 결정적인 장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법이 있다. ‘곡사 ...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유전체자원센터 (GRC) 센터장. 연구동 건물 1층 복도에는 삽살개, 돼지부터 김치 속 미생물
사진
까지 쭉 걸려있었다. 곧 박 센터장에게 게놈 신분증을 받을 생물들이다.‘듣던 대로 이곳이 바로 게놈 신분증 발급 센터구나.’제대로 찾아왔다는 생각에 미소가 번졌다.설레는 마음으로 실험실 문을 열고 ... ...
DNA벽돌로 나노 만리장성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형태의 DNA 오리가미를 가지고 만든 다양한 나노 구조물들(아래 두 줄은 전자현미경
사진
). 오리가미 표면의 미세구조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결합한다.]생명체의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생체분자인 디옥시리보핵산(줄여서DNA)이 나노 구조물을 만드는 재료로 변신했다.미국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는 3세대보다 1000배 빠른 시간(펨토초)까지 포착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3세대 때
사진
형태로만 포착할 수 있었던 장면을 연속 동작으로 관찰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화학반응 과정까지 관찰할 수 있다.4세대 방사광가속기의 가능성은 아직 아무도 모른다. 김기정 빔라인부연구원은 ... ...
이전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