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문우주]태양계 밖 행성서 이산화탄소 발견
과학동아
l
200901
63광년 떨어진 목성 만 한 행성에서 이산화탄소가 발견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12월 9일 여우자리의 별 주위를 도는 행성 HD 189733b의 대기에서 이산화탄소의 증거를 포착했다고 발표했다. 태양계 밖 행성에서 이산화탄소가 발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HD 189733b의 표면을 덮고 있는 대기는 이 ... ...
[고생물학]공룡 머릿속이 빈 이유
과학동아
l
200901
미국
오하이오대 로렌스 위트머 교수팀은 공룡 머릿속 빈 공간의 역할을 알아냈다고
미국
해부학회가 발간하는 ‘아나토미컬 레코드’ 11월호에 밝혔다.연구팀은 티라노사우루스 같은 육식공룡과 파노플로사우루스 같은 초식공룡 머리뼈 화석 안의 공간을 보기 위해 컴퓨터단층(CT)촬영을 하고 ... ...
[환경]해조류와 열대식물로 나는 비행기?
과학동아
l
200901
열매로 만든 바이오연료를 가득 채운 비행기를 타고 해외여행을 갈 날이 머지않았다.
미국
콘티넨탈항공은 지난 12월 8일 자사 홈페이지에서 “1월 7일 휴스턴에서 바이오연료를 채운 여객기를 시험 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2007년 초 버진 애틀랜틱이 코코넛기름과 바바수 야자나무 열매에서 ... ...
[의학] 다크 초콜릿은 몸에 좋은 쓴 약?
과학동아
l
200901
다크 초콜릿을 하루에 6.7g, 즉 반쪽 정도 먹으면 심혈관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고
미국
영양학회 저널인 ‘저널 오브 뉴트리션’에 발표했다.연구팀이 35세 이상의 건강한 사람 2000명을 상대로 실험한 결과, 다크 초콜릿을 정기적으로 먹는 824명은 그렇지 않은 1317명에 비해 ‘C 반응성 단백질’이 17%나 ... ...
[첨단기술]장애물 만나면 메뚜기처럼 점프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0901
수 없는 사막이나 오지에서 지질조사에 쓸 수 있는 로봇인 ‘졸봇’(Jollbot)을 만들었다고
미국
물리학회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뉴스사이트(physorg.com)가 지난 12월 4일 보도했다.졸봇은 모든 방향으로 구를 수 있도록 공처럼 생겼으며 메뚜기나 개구리처럼 점프한다. 마치 메뚜기나 개구리가 높이뛰기 ... ...
한국인 게놈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0901
영국 생어센터는 1000명의 게놈을, 중국 역시 2007년부터 999명의 게놈 지도를 작성 중이다.
미국
의 DNA 분석전문회사인 ‘컴플리트 게노믹스’는 2010년부터 룩셈부르크 정부의 지원 아래 2만 명의 게놈을 해독할 계획이다. 컴플리트 게노믹스는 올해부터 1인당 5000달러(약 750만 원)를 받고 게놈을 ... ...
요즘 태양은 왜 민얼굴인가요?
과학동아
l
200901
함께 구경 1.6m인 세계 최대 규모의 신형 태양관측망원경(NST)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빅베어 태양관측소에 설치될 NST로 흑점의 자세한 구조와 흑점 주변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폭발현상을 분석할 예정이다.
미국
뉴저지공대와 공동으로 개발 중인 ‘한국형 태양전파폭발위치감지기’(K ... ...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IPSAP
과학동아
l
200901
“목표는 ‘나스트란’의 자리를 차지하는 겁니다.” ‘나스트란’(NASTRAN)은 1960년대 초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개발돼 지금까지도 항공우주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해석 프로그램이다. 아폴로 우주선을 개발할 때도 ‘나스트란’을 사용했다. 김 교수는 처음부터 ‘나스트란’에 ... ...
2009년 기축년(己丑年), 소를 생각한다
과학동아
l
200901
됐다. 지난해에는 애완견 복제를 시작함으로써 복제 상업화의 막을 올렸다.지난해 초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복제소나 복제돼지를 먹어도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발표해 큰 파문을 일으켰다. 100년에 한 번 나올까말까 하는 형질이 우수한 소가 태어나 정액을 확보했더라도 암컷 난자의 유전자와 섞이면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01
그럴 듯하오?여기에는 재밌는 얘기가 하나 있소. 때는 1975년으로 거슬러 가오. 당시
미국
버클리소재 캘리포니아대 알란 윌슨과 메리 클레어 킹이라는 젊은 학자들이 침팬지와 사람의 단백질을 조사했다오. 우리 인간은 두 발로 걷지 않소. 침팬지는 네 발로 움직이고 털도 많고 뇌 용량도 우리보다 ... ...
이전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