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만의 발명 어떻게 지킬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한다. 하지만 기술자 한 사람이 자신의 기술을 공개하면 다른 기술자들은 이를
보고
더 좋은 효율을 내는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다. 더 좋은 기술을 만드는 면에서나 중복 투자 방지 면에서 효과가 크다. 이 때문에 실제 특허를 낼 때는 자신이 아는 모든 노하우를 다른 사람도 보기 쉽게 그림과 함께 ... ...
학습계획서 작성하기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주의할 점은 첫째, 수험생 본인이 직접 작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입학사정관들은 서류를
보고
수험생의 실력과 가능성을 평가하고, 면접과 캠프를 통해 그 실체를 검증한다. 학습계획서에 담긴 내용이 모든 전형에서 일관성 있게 이어져야 한다. 둘째, 핵심 내용을 최대한 간결하고 조리 있게 ... ...
영원한 찰떡궁합 수학과 과학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그래서 수학동아가 나섰다. 과학의 달을 맞이해 수학과 과학의 관계를 밀착 취재한특별
보고
서 대공개~!▼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영원한 찰떡궁합 수학과 과학 최초의 수학자와 과학자는 누구?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①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수학자? 과학자?① 수학자? ... ...
특성으로 살펴본 숫자 4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평면을 어떻게 쪼개든 네 가지 색깔이면 서로 구분할 수 있다는 뜻이야.2 사람이 한 번
보고
인식할 수 있는 숫자는 몇 개일까? 심리학자들은 어른이나 아이 상관없이 모두 4개 정도라고 말해. 다섯 자리 이상의 수는 한 번에 기억하기 힘들다는 거야. 그래서 전화번호를 국번과 뒷번호로 4자리씩 나눠 ... ...
숨어있는 분수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거리를 150000로 축소시켜 지도 위에 나타냈다는 뜻이다. 축척 표시 방법 다음 지도를
보고
지도 위의 거리가 실제로 얼마를 나타내는지 알아보자.축척 1100000이고 지도 위의 거리가 3cm이므로 이를 이용해 방정식을 만들 수 있다.따라서 실제 거리는 3km가 된다 ... ...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탭으로 분류해 검색이 용이하다. 최근 물리학에서 일어나는 연구성과나 뉴스를 받아
보고
싶다면 ‘아이피직스업데이트(iPhysics-Updates)’가 제격이다. 아이폰의 푸시 기능을 이용해 최신 뉴스가 자동으로 업데이트 된다.양서류 멸종 막고 도시 소음 재는 애플리케이션앞으로는 현장에서 수집한 연구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유영숙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부원장은 “GMO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단순히 앞만
보고
달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기술이 쓰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위험성을 제거하는 연구가 병행돼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유 부원장은 “지금은 과거처럼 특정 과학자가 위험한 연구를 혼자 ... ...
1982년 토머스 체크 교수의 RNA 효소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합성을 촉매하는 두 리보자임(E와 E´)을 만들었다고 지난해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보고
했다. 상대 분자를 만들면 결국 자기도 더 많이 만들어지므로 간접적 자기복제인 셈이다. 아쉽게도 뉴클레오티드 하나에서 출발해 리보자임을 만든 건 아니고 주어진 RNA 분자(A, B, A´, B´)를 붙여 리보자임 ... ...
이중 암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수 없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황금벌레’에서 루그랑은 양피지에 나타난 양 그림을
보고
카리브해에 출몰했던 전설적인 해적 키드(kid) 선장이라는 것을 직감한다. 그리고 해골 그림과 양 그림 사이에 띄어쓰기 없이 빼곡하게 들어찬 숫자와 각종 부호가 나타나는 빈도를 표로 작성한 뒤 알파벳에서 ... ...
수학자? 과학자?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그의 연구는 나중에 잘못된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하지만 인간의 몸을 기계와 같이
보고
원리를 파악하려고 한 노력은 생리학이 발달하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한편, 광학에서는 동물의 눈을 해부해 물체에서 나온 빛이 눈 속에서 상을 맺는 원리를 연구했다. 빛의 굴절을 이용해 무지개의 원리를 ... ...
이전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