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15분 덜덜… 1시간 운동 효과?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바뀌어 1시간 운동한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고 2월 4일 ‘세포 대사’에
발표
했다.우리 몸에 있는 지방은 잉여 칼로리를 저장하는 백색지방과 체온을 유지하고 에너지를 내는 갈색지방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비만인 사람일수록 백색지방의 비율이 높다. 갈색지방은 어린이나 마른 사람에게 ... ...
국내 연구진, ‘월면섬광’ 현상 촬영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천문우주과학과 교수팀은 운석이 달과 충돌하는 ‘월면섬광’을 촬영했다고 2월 8일
발표
했다. 이 관측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무인 달탐사선 라디(LADEE) 연구의 일환으로, 달 표면의 먼지 움직임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자료다.지구에는 하루에 수십t의 우주 물질이 유입된다. 이들 중 ... ...
PART1. 핵 쓰레기통이 넘친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포화시점을 2024년으로 늦추는 것을 두고도 ‘말바꾸기’라는 비난을 들을까 두려워
발표
하지 말자는 의견이 나왔다는 후문이다.영구 처분, 중간 저장, 재처리…우리는 어디로?아무리 방식을 바꿔도 임시저장 용량이 곧 한계에 이른다는 것은 기정사실이다. 지금이 사용후핵연료를 장기적으로 ... ...
발모제 먹어도 성욕 감퇴 없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복용해도 성기능과 관련된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전혀 줄지 않았다고
발표
했다.테스토스테론은 남성 생식기 발달과 발기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이다, 연구진은 피나스테리드가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낮춘다는 잘못된 속설을 반증하기 위해 57~79세 53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12개월간 ... ...
게이 성향은 ‘타고 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사이언스’ 발행기관인 미국과학진흥협회(AAAS)가 2월 13일 개최한 연례총회자리에서
발표
했다.한편 동성애자가 되는 원인은 여전히 학계의 논란거리다. 일부에서는 아기가 자궁 안에 있을때 엄마의 다양한 습관이 태아의 호르몬에 영향을 미쳐 동성애자가 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 ...
136억 살 최고령 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켈러박사팀은 136억 년 전에 탄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별을 발견해 ‘네이처’ 2월 9일자에
발표
했다. 이는 약 137억 년인 우주 나이와 거의 비슷하다. 연구팀은 이 별의 철 함유량이 태양의 100만분의 1에도 못 미치며 현재 알고 있는 어떤 별과 비교해도 60분의 1 미만이라고 밝혔다. 이는 기존 지식과 ... ...
빛으로 부활한 마크 로스코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마크 로스코는 두 개의 대비되는 붉은 색채와 그 사이의 심원한 간극을 즐겨 그리는 것으로 유명한 20세기 미술계의 거장이다. 마치 바다와 하늘 사이의 수평선 같은 금과 ... 일어나지않아 안전한 방법임을 확인했다. 이 연구 결과는 2월 14일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총회에서
발표
됐다 ... ...
무중력 자세로 운전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5개로 제한한다. 1950년 미국 하버드대 조지 밀러 교수는 ‘마법수 7±2’라는 논문을
발표
했다. 인간 뇌는 5개에서 9개 사이의 정보를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그래서 핸드폰 번호도 010을 제외하면 7~8자리다. 자동차는 안전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보다 적은 5개로 맞춘다 ... ...
줄기세포 혁명? 또 한 번의 악몽?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불가능한 연구라며 ‘게재 불가’ 판단을 내렸다. 하지만 얼마 뒤 이 논문이 ‘셀’에
발표
돼 알아 보니, 논문을 검토한 다른 두그룹에서 실험을 재현해냈던 것이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다. 스탭세포처럼 기존 상식으로 이해할 수 없는 연구라면 다른 실험실에서 똑같이 만들어보는 실험의 재현 ... ...
간질과 ‘코 다 페이’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온 환자라면 훨씬 낯설고 불편한 감정이 커질 거예요. 미국 작가 앤 패디먼이 1997년에
발표
한 ‘리아의 나라’는 의학기술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문화충돌 때문에 환자를 치료하지 못한 사례를 잘 다룬 책이에요. 이 책의 주인공이자 실제 인물인 리아는 1980년대 미국으로 이민 온 몽족(라오스의 ... ...
이전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