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스페셜
"
이후
"(으)로 총 4,636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연속성 있는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25
2003년 스웨덴 과학자 100여명과 함께 ‘인간 단백질 아틀라스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후
국내를 비롯해 인도 중국 등의 연구진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찾아낸 단백질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2005년 다국적 연구진이 찾은 단백질 수는 650개였지만 지난해 말까지 찾은 단백질은 모두 1만11 ... ...
한 자리에 모인 주요 제약社 연구소장, “한국 바이오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4.05
바이오시밀러(Biosimilar·바이오의약품 분야의 복제약)에 집중 투자했다. 2002년 회사 설립
이후
꾸준히 관련 연구를 해오다 특허 시기와 마켓 성숙도를 면밀히 따져 이 분야에 본격 진출했다. 연구인력은 100여 명 규모다. 세계 시장에서 아직 유럽을 제외하고는 바이오시밀러의 개념이나 법적 ... ...
“제네릭 약가 보상 인하로 국내 업계 간 M&A 유도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0.12.14
“지난 3년간 생명과학 분야 연구자와 기업인들을 열심히 만나고 다녔다”며 “1980년대
이후
꾸준히 발전해 온 국내 바이오 연구역량과 성과들이 산업화에 제대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박 국장은 여러 정책들을 주도하고 있다. 국내 유망 바이오기업을 육성하는 ‘코리아 바이오 ... ...
“제약경쟁력 키우려면 범부처 협력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0.11.23
있습니다. 이와 달리 바이오의약품의 연간 성장률은 15%가 넘습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다국적 제약기업이 화학의약품을 개발하는데 투자한 비용은 3배 정도 늘었다. 그러나 매출은 매년 감소한다. 신약개발건수도 날로 줄어들고 있다. 임 단장은 “화학의약품에 대한 규제가 점차 심해지고, ... ...
일률적인 연구평가방식 맞춤형으로 바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10.06
국책연구소에서 대학으로 자리를 옮긴다. 지난해 국정감사 결과에 따르면 2003년
이후
기초기술연구회 산하 13개 연구기관에서 연구현장을 떠난 386명 가운데 42.7%가 대학으로 이직했다. 대학이 연구자가 원하는 연구를 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고, 정년 또한 만 65세로 연구소보다 4년 길기 때문이다. ... ...
“국가 연구 개발은 참을성 갖고 지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8.24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센터는 세계적인 연구 동향 파악, 목표 재설정, 연구 종료
이후
의 계획 등에 대해서 조언을 해준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는 “초기 단계부터 고민을 함께해서 오랫동안 같이 고민하면서 쓰임새 있는 연구가 되도록 도와줄 것”이라고 전했다. 송지용 센터장의 이것만은 ... ...
“BT 기초연구 튼튼해야 상용화도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8.10
창의과제에 선정돼 매년 최소 2억 원의 연구비를 받고 있다. 오 교수는 “한국전쟁
이후
최빈국에서 우리나라가 지금 자리에까지 오를 수 있었던 건 과학기술에 투자를 많이 했기 때문”이라며 다시 한 번 국가 주도 R&D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기초가 튼튼해야 빛보는 BT 그럼에도 인터뷰 내내 ... ...
“생물자원 전쟁 이미 시작… 과학적 분류부터 응용까지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10.07.06
올해 향후 생물자원을 통한 이익 분배 방식을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협약이 체결된
이후
에는 다른 나라로부터 유전자원을 마음대로 가져 올 수도 없다. 또 우리가 스스로 자생 생물에 대한 연구가 잘 되어있다면, 과거에 해외 선진국이 가져간 중요한 생물 자산에 대해서 지적재산권을 주장하며 ... ...
“국내 바이오 기업은 30점, CEO 욕심 버려야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0.04.28
하지만 권 과장은 한국 바이오의 앞날은 희망적이라고 강조했다. “2005년 황우석 사건
이후
바이오 산업에 대한 관심이 많이 줄어들었어요. 지난해부터 다시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죠. 지금은 분명 바이오산업이 많이 올라오는 중입니다. 최근 들어 대기업의 참여가 늘어난 것이 매우 희망적입니다 ... ...
국가 신약개발 진두지휘할 협의회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3.16
실무를 추진할 협의체의 간사기관으로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를 지정하기로 했다.
이후
4월 초 과장급 인사들이 모여 추진 회의를 진행키로 했다. 상설 과장급 및 서기관, 사무관 등 실무자급 회의를 통해 협의체 발족을 위한 세부 논의를 매월 1회 이상 진행 할 예정이다. 8월 말까지 이같은 내용을 ... ...
이전
459
460
461
462
463
4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