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시계 되돌려 줄기세포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넣은 방식이다. 트랜스포존 염색체의 특정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작은
유전자 조각. 그러나 안전성 문제는 여전히 남았다. 차의과학대 의생명과학과 황동연 교수는 “트랜스포존이 체세포 안에서 제거되지 못하고 일부 남아 다른 유전자의 기능을 방해할 위험이 있다”고 ... ...
[culture] 한여름 보양식의 제왕 뱀장어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되면 활발히 헤엄쳐 다니는데, 커다란 입으로 물속의 지렁이나 갯지렁이, 새우, 게, 조개,
작은
물고기를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다. 개펄 속 생활을 즐기는 탓에 눈이 작고 시력도 떨어지지만 후각이 매우 예민하게 발달해 먹이를 쉽게 찾아낼 수 있다.뱀장어는 미꾸라지와 더불어 몸이 미끄러운 ... ...
소마큐브를 업그레이드한 창의블록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이하로 조합된 블록을 이용해 더 큰 정육면체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는
작은
정육면체 3개로 이뤄진 3블록과 4개로 이뤄진 4블록으로 총 7개 조각의 소마큐브를 고안했다. 소마큐브 7조각으로 3×3×3 정육면체를 만드는 방법은 모두 14가지다.과학동아키트가 내놓은 ‘창의블록’은 ... ...
나노 세계 들여다보는 차세대 X선현미경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개발하고 있는 현미경이 바로 X선현미경이다. X선현미경은 사물을 꿰뚫어 볼 수 있고 더
작은
세계까지 들여다 볼 수 있는 X선의 장점을 활용한 현미경이다. 물체 내부를 수십nm(나노미터, 1nm=10-9m) 크기까지 관찰할 수 있는 이 현미경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세계 최고 해상도의 비결은 동심원 ... ...
아이스 에이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집에 팔려 왔을 때처럼 오들오들 떨렸다. 바람이 몰아닥칠 때마다 허이연 눈가루가 내
작은
몸뚱이를 덮치곤 했다. -이외수, ‘훈장’ 작가 이외수는 이 독기어린 문장을 쓰기 위해 한 겨울의 서릿발을 알몸으로 버티며 글을 적어내려 갔다고 한다. 찢어지고 터지는 살로부터 탄생한 단어와 문장은 ... ...
식품 속 거품의 핵심은 계면활성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순한 카푸치노로 마시련다.카페에서 에스프레소를 주문하면 높이가 엄지손가락만 한
작은
잔에 커피 원액이 담겨 나온다. 이 쓴 것을 어떻게 마실까. 하지만 황금색 크림인 크레마가 잔잔하게 떠 있는 에스프레소야말로 커피의 향과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커피의 진수다. 에스프레소의 맛은 ... ...
달 정착촌 후보지 찾아 나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딥임팩트와 비교하면 이번 충돌은 그 에너지가 훨씬 클 것이기 때문에 지상에서
작은
구경의 망원경으로도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촬영된 사진들은 연구에 중요하게 사용될 것이다. 30년간 우주 개발 대상에서 소외돼 있던 달의 화려한 재등장에 한국과 세계 천문학계가 신경을 집중하고 ... ...
땀 냄새족의 여름 탈출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땀샘을 지방과 함께 흡입하는 땀샘 흡입술이 많이 시술되고 있다. 이 방법은 겨드랑이에
작은
구멍 한두 개를 내 시술하기 때문에 흉터도 크게 남지 않고 입원할 필요가 없어 수술한 다음날부터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박 교수는 “더 간단한 방법으로는 겨드랑이에 보톡스를 주사해 땀을 분비시키는 ... ...
별똥에서 소리가 났다는 기록이 있다고요?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국제천체물리센터 안상현 박사의 말이다. 유성은 소행성이나 혜성에서 떨어져 나온
작은
입자가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면서 공기와 마찰돼 발광하는 현상이다. 안 박사는 “보통 유성은 모래알 정도 크기지만 때로는 자갈만 한 덩어리가 진입할 때도 있다”며 “이 경우 음속으로 나는 전투기에 ... ...
딱총나무 세포에서 배우는 거품의 수학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벌들은 마름모 3개를 이용해 두 방을 나눴다. 그런데 1964년에 한 수학자는 벌집보다 0.1%
작은
넓이의 구획방법을 발견했다. 그러나 이미 수억 년 전에 계산기 없이 이런 것을 발견한 벌들에 비해 인간의 업적은 미미해 보인다.그러면 3차원 공간을 가장 효율적으로 분할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벽돌과 ... ...
이전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