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23] ‘오지라퍼’가 되지 않으려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경우가 더 많다고 입을 모은다.우선 잘못된 조언은 상대의 자율성을 침해한다. 공부를 시작하려는 찰나에 부모님이 들어와서 잔소리를하고 사라졌을 때를 떠올려 보자. 공부를 하려던 마음은 눈 녹듯 사라지고 ‘왜 하필 이때 들어와서…’라는 생각이 들며 공부하려는 마음이 싹 사라진다. 이처럼 ... ...
- “거북선은 3층, 큰 대포는 앞에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관심을 갖게 됐고, 그 뒤엔 조선시대 화포를 조사했다. 거북선에 대해 연구를 시작하게 된 것도 거북선에 실린 화포 때문이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아직도 조선시대의 뛰어난 대포를 완벽하게 복원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만약 기회가 된다면 거북선과 거북선에 실린 대포를 복원해 직접 포격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위해선 일단 센터시험에서 고득점을 얻어야 한다. 2013년부터 모의고사에 응시하기 시작한 도로보쿤은 2014년 대학입학 모의고사에서 전국 581개 사립대의 80%에 해당하는 472개 대학에 합격할 수 있는 점수를 얻었다 미국에도 수능과 유사한 시험인 수학적성시험(SAT)이 있다.일본과 우리나라의 경우 ...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붉은 빛을 강하게 쪼여도 흐르지 않던 전류가, 아주 약한 푸른 빛을 쏴 주자마자 흐르기 시작하는 현상은, 정말 신기했지만 누구도 설명하지 못했다.1905년 아인슈타인은 플랑크가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에너지 양자 개념을 이용해 광전효과를 성공적으로 설명해냈다. 플랑크상수(h)와 빛의 진동수( f ...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사실도 직접 확인했다. 아르테미시닌은 1990년대부터 말라리아 치료제로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투여 후 48시간 내에 원충을 박멸했고, 다른 어떤 말라리아 치료제보다 뛰어난 해열작용을 보였다. 기존의 말라리아 치료제에 내성을 보이는 원충에 대해서도 효과적이었다.현재 WHO는 아르테미시닌에 ... ...
-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정용권입니다. 우선 에너지자원공학과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정은혜 자원 개발의 시작부터 끝까지, 전 과정을 공부합니다. 에너지자원공학과의 출발은 광산학과였어요. 광업이 자원을 개발하는 일이잖아요.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물질을 캐내는 일이죠.정용권 무엇을 공부하나요?정은혜 자원이 ... ...
- “모든 변화는 잡지 한 권에서 시작됐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제주 대정초등학교 4학년 1반 담임을 맡고 있는 정혜은 교사는 우연한 기회에 신청한 ‘1학급 1과학동아’ 캠페인의 무료 기부에 선정돼 놀라운 변화가 학급에서 일어나고 있다며 소식을 전해왔어요.“학기 초만 해도 10분 동안 집중해서 책을 읽는 친구들이 많지 않았어요.그런데 ... ...
- 철새의 자기장 내비게이션, 실험으로 증명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목적지를 향해 비행하던 중 자기장 조건이 바뀌자 방향을 틀어 북서쪽으로 날아가기 시작했다.키시키네프 교수는 “자기장 교란 지역을 벗어났을 때에는 또다시 자기장을 기준으로 비행 방향을 재조정했다”며 “주변의 지자기 조건을 기준 삼아 비행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영주지방에서 태어난 김담은 20살(1435년)에 과거에 급제한 뒤 집현전에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당시 1등이 사육신으로 잘 알려진 성삼문이었던 것을 보면 김담의 총명함이 어떠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김담은 당시 천문관측시설인 간의대를 담당하던 이순지가 모친상을 당했을 때 간의대를 맡을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이유라기보다 다분히 심리적인 이유(탐식)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여기에서 모든 재앙이 시작됐다. 많이 먹을 몸이 아니다…그런데 많이 먹는다이제 인간은 탐식을 주체하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탐식 때문에 자주 먹더라도 섭취량이 적으면 괜찮다. 문제는 ‘과식’이다. 전 인류는 과식하는 ... ...
이전4594604614624634644654664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