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조
대비
견줌
비유
비김
비교분석
분석
d라이브러리
"
비교
"(으)로 총 6,845건 검색되었습니다.
티코 브라헤와 초신성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알골을 찾은 후 그와 비슷한 밝기를 가진 별을 주변 별자리에서 골라 놓고 이틀 후 다시
비교
해 보면 알골의 밝기가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간단히 별사진을 찍을 수 있는 장비가 있으면 여러날 반복해 같은 조건으로 찍어보면 밝기 변화를 더 잘 확인할 수 있다.밤하늘의 변화를 읽을 수 있게 ... ...
윈도 vs 리눅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Sun) 등이 대표적이며, 우리나라에서는 한글과 컴퓨터가 있다.윈도와 리눅스의 장단점을
비교
해서 어느 것이 더 좋다고 쉽게 정할 순 없다. 하지만 현재 많은 업체들이 리눅스의 응용프로그램 개발과 공급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정부까지 나서서 리눅스 보급에 주력하고 있기 ... ...
아마존 정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활발하므로 구름이 잘 생긴다.이때의 구름은 물론 비를 포함한 구름이다.우리나라와
비교
하면 한여름의 소나기구름 같은 것이 수시로 만들어지고 비를 뿌린다고 생각하면 된다.열대는 쾨펜의 분류에 따르면 가장 추운달의 평균기온이 18℃ 이상인 기후를 말한다. 항상 여름이라고 생각하면 좋다. ... ...
현상공모 유전자 개수를 맞춰라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복어의 염기서열을
비교
해보면 그 숫자는 더 작아진다고 주장했다. 두 염기서열을
비교
해서 동일한 유전자가 포함된 부분을 찾아내는 형식으로 계산했더니 인간의 유전자 개수는 2만7천7백-3만4천3백개로 추정됐다. 미국 워싱턴 대학의 필 그린 박사 역시 이와 유사한 수치를 제시했다. 심지어 미국 ... ...
③ 정보통신 : 남쪽 기술과 북쪽 인재의 결합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ㄱ’인지 아닌지
비교
해보고, 자음과 모음 순에 따라서 ‘ㄴ’, ‘ㄷ’ 순으로 계속
비교
해가면서, ‘ㅇ’ 차례가 됐을 때 비로소 ‘ㅇ’을 인식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거치므로 ‘ㅇ’의 순서가 ‘ㅅ’ 다음이냐, ‘ㅎ’ 다음이냐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인식하게 되므로 표준화가 이뤄지지 ... ...
국경과 시간을 초월하는 인터넷 방송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정보 검색은 물로
비교
적 고품질의 인터넷 방송을 즐기는 것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 중에는 불과 2-3년 후에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 공항에서 비행기를 기다리며 IMT 2000 단말기를 통해 우리나라의 주말 ... ...
① 시각 : 도로 상태 보며 핸들 조절하는 무인자동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과제를 내준 것은 잘 알려진 일화다. 하지만 이후 40년이 지난 현재에도 인간의 시각과
비교
할만한 인공시각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앞으로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현재 인공시각에 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수준에 와있을까. 흥미롭게도 ‘제한된’ 상황에서 인간보다 ... ...
④ 행동 : 일사불란한 작전 펼치는 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 스위스에서 개발된 로봇 케페라(Khepera)는 기능이
비교
적 단순하지만 센서를 통해 주변의 정보를 인식하고 다른 개체와 협조행동을 할 수 있는 자율이동로봇이다.여러대의 자율이동로봇으로 구성된 다중 분산지능 시스템에서 한가지 목적 아래에 협조작업을 ... ...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똑같은 주파수 분포를 가지면서 순서를 마구 뒤섞어놓은 신호를 임의로 만든 후 뇌파와
비교
해 보았더니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는 논문도 나왔다.미국의 물리학자들로부터 반격을 받은 유럽의 의학자들은 미국 물리학자들의 주장은 뇌파처럼 높은 차원의 실제 데이터에 적용하는 것은 무리라고 ... ...
식물세계 미남 미녀의 조건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만들지 않기 때문에 양성화에 비해 에너지 소비를 격감시킬 수 있다. 수꽃은 양성화와
비교
할 때 엄마의 기능은 소실돼 있으므로 열매는 맺을 수 없다. 그 몫만큼 번식에 성공할 확률은 낮다. 양성화의 수를 적절하게 조절해 열매의 크기를 가능한 크게 만들 수 있다는 말이다. 식물들이 암술과 ... ...
이전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