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두뇌는 어떻게 작동하나과학동아 l1986년 10호
- 심상이라고 한다. 마음 속에 그림이 없으면 생각할수도 없다. 생각할 때 느끼는 감정은 그림을 그릴 때 느끼는 감정과 같은 것이다. 이와 같이 창의력은 오른쪽 뇌의 기능이다. 신경과학의 발달은 신비에 싸여있는 뇌를 벗기는데 중요한 공헌을 하고 있다. 즉 기억, 감정, 사고가 모두 뇌의 통제에 ... ...
- 돌다리도 두드려 건너자과학동아 l1986년 10호
- 사용하기로 하며 이 변수가 필요한 두 수 3 ,5 ,7 ,2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그림 4) 문제 1의 프로그램 110 REM 두 수 중 큰 수 구하기110 CLS120 PRINT : PRINT : PRINT130 PRINT TAB(20) "두 수 X,Y을 입력하시오" ;140 INPUT X, Y150 PRINT TAB(20) " ...
- IQ의 허와 실과학동아 l1986년 10호
- 것만은 아니다. 그것은 구체적인 행동과 그기 이룩한 업적에 의해 판단된다. '훌륭한 그림을 그렸다'라든가 '새로운 이론을 발표했다' 등 행동과 업적의 내용은 매우 다채롭다. 또한 '경영자로서 회사의 발전을 비약적으로 이룩했다'는 내용도 포함된다. 이런 사람들이 반드시 학교성적이 좋았다거나 ... ...
- PART 2 기억구조를 해부한다과학동아 l1986년 10호
- 있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그 증거로 처음에는 불과 7자릿수밖에 외우지 못했다고 한다.(그림1)대체로 머리가 좋은 사람일수록 기억력도 뛰어나다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그 반대로 기억력이 뛰어난다고 해서 반드시 머리가 좋은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자동차나 비행기 등의 이름은 물론 ... ...
- 차세대 헬리콥터, 10월에 시험비행과학동아 l1986년 09호
- 하나는 엔진출력을 로터와 기체 뒤쪽으로 부터의 제트 추진력으로 바꿔 사용하는 방식(그림 위)이다. 보통 헬리콥터는 기체가 회전되는 것을 막기위해 꼬리날개에 작은 프로펠러를 달고 있으나 새로 개발하는 이 경우에는 기체 꼬리 부분에 제트 분출구가 있다. 또 하나의 방식은 기어로 로터와 ... ...
- 문제인식에서 오류수정까지과학동아 l1986년 09호
- 방법을 알아야하겠다. 이와같은 처리 형태를 LOOP라고 하는데 (그림 7)과 같다. 이제 그림에서 LOOP를 완전히 끝마쳤음을 컴퓨터가 어떻게 알 수 있을 것인지 의아심이 생긴다. 컴퓨터가 사람처럼 반복한 회수를 생각해서 계산하도록 하기 위하여는 반복할 회수가 몇 번이며 어느때 반복을 끝마칠 ... ...
- 시간과 공간의 고정관념을 타파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과학동아 l1986년 09호
- b)에서 처럼 L에 먼저 도착한 후 한참 후에야 K와 K'가 일치한 순간에 발사된 빛이 L에 도착(그림d)한다. 따라서 열차내의 중간점에 있는 사람 L은 앞쪽 J·J'에서 일어난 사건이 먼저 일어나고, K·K'가 일치한 뒷쪽에서 일어난 사건은 뒤에야 일어난 것처럼 보인다. 결국 열차내의 중간점 L에 있는 사람은 ... ...
- 시력이상과 교정의 요령 굴절이상은 정확한 안경처방이 필수적과학동아 l1986년 09호
- 상(像)이 각막과 수정체를 통과하면서 굴절하여 망막에 초점을 맺는 경우를 말한다(그림1). 근시에서는 망막까지 도달치 못하고 그 앞에 초점을 맺게 되며 원시에서는 뒤쪽에 초점을 맺게 된다. 난시란 눈의 축에 따라 굴절정도가 서로 다른 경우를 말하며, 노안은 40대중반 이후 수정체의 탄력성이 ... ...
- 수소 에너지 시대가 온다과학동아 l1986년 09호
- 반응용기 내에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을 넣고 수소의 이동통로를 연결하여 그림에서의 순환루트와 같이 반응용기의 적절한 온도변화와 반응용기간의 수소이동을 유발시키면 우리가 원하는 히트펌프를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예를들어 가열형 히트펌프의 경우 한번의 순환과정을 ... ...
- 아인슈타인 이후의 상대론 천재의 예언은 들어 맞았나과학동아 l1986년 09호
- 본다. 그리고 중력 렌즈 현상은 블랙홀 주위의 시공간의 곡률이 빛을 휘게 하므로 (그림1)에서 보듯이 블랙홀의 주위를 지나는 빛이 휘어지게 되어 멀리 떨어진 빛의 제1상과 제2상을 형성케 됨을 말하는데 이 현상은 1980년에 가서야 망원경으로 발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실험값과 관측값이 ... ...
이전4594604614624634644654664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