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뉴스
"
직접
"(으)로 총 8,052건 검색되었습니다.
‘30억명 중 범인 후보 60명 찾는 실력’ 염기교정 가위 정확도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DNA에서 원하는 부위의 염기를 찾고, 그 가운데 ‘아데닌(A)’을 구아닌(G)으로
직접
바꿀 수 있는 교정 기술인 ‘아데닌 염기교정 가위’의 정확도를 측정하는 데 성공해 그 결과를 생명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4일자에 발표했다. 지금 이 기사에서 ‘가위’라는 단어를 ... ...
'모유 미생물'이 건강한 장내미생물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하면 아기 면역력를 강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장내미생물 서식에
직접
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는 처음이다. 스페인 국립과학원 농업식품기술연구소 연구팀은 모유에 포함된 미생물이 신생아의 장내 미생물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 ...
"오픈액세스 안 하면 '셀' '랜싯' 안 볼거야!" UC의 반란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지원기관이 참여해 발족한 '플랜S'가 대표적이다. 두 가지 가운데 이번 계약 결렬에
직접
적인 계기가 된 것은 비용이었다. 오픈액세스 쪽은 의외로 비교적 합의에 다다랐다는 게 캘리포니아대 측의 설명이다. 제프 매키메이슨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도서관장도 “막판에 엘스비어는 ... ...
스페이스X, ‘크루드래건’ ISS 안착...민간유인우주선 꿈 눈앞(종합)
2019.03.03
프로그램의 일부분이다. NASA는 2011년 우주왕복선 임무를 종료하며 일시적으로 NASA가
직접
운영하는 유인우주발사 임무를 중단했다. 이후 NASA는 러시아 소유스 캡슐을 이용해 우주인을 ISS로 보내는 데 1인당 919억 원(약 8200만 달러)의 비용을 내고 있다. 이 계약이 올해 11월 종료된다. 대신 NASA는 ... ...
스페이스X, 민간 최초 유인우주선 발사 성공…3일 저녁 ISS도킹 시도
2019.03.03
프로그램의 일부분이다. NASA는 2011년 우주왕복선 임무를 종료하며 일시적으로 NASA가
직접
운영하는 유인우주발사 임무를 중단했다. 이후 NASA는 러시아 소유스 캡슐을 이용해 우주인을 ISS로 보내는 데 1인당 919억 원(약 8200만 달러)의 비용을 내고 있다. 이 계약이 올해 11월 종료된다. 대신 NASA는 ... ...
[3·1운동 100주년]"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
과학동아
l
2019.02.28
유일한 책이다. 해방 이후 그는 자신이 정리한 조선 나비 250여 종에 우리말 이름을
직접
지었다. ‘각시멧노랑나비’ ‘떠들썩팔랑나비’ ‘무늬박이제비나비’ ‘은점어리표범나비’ ‘청띠신선나비’ ‘번개오색나비’ 등 현재 순우리말 나비 이름의 70% 이상이 석주명의 손에서 탄생했다. ... ...
中, 유전자편집 관련 생명공학 법안 초안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보인다. 지침으로만 관리되던 생명공학 관련 연구가 법안으로 바뀌면 중국 당국이
직접
연구를 관리하겠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11월 허 교수의 충격적 발표 이후 중국의 규제는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중국 교육부는 대학들에게 유전자 편집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 ...
미세먼지 줄이는 ‘탈질 폐촉매 재활용' 설비 착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바나듐 200톤을 회수할 수 있다. 이를 가치로 환산하면 1000억원 정도이며 80명 이상의 신규
직접
고용 창출 효과도 기대된다. 탈질 폐촉매 활용 기술은 이진영 KIGAM DMR융합연구단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2016년부터 기술 개발을 시작해 기술 검증과 안정화 단계를 거쳐 올해 상용화 단계에 들어갔다. ... ...
청백색 조명 쬐면 아침 잠 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기존 연구는 푸른 빛의 강한 레이저를
직접
조사하는 제한적 조건에서 실험이 이뤄져 일상에 접목하기 어려웠다. 또 푸른 빛을 저녁이나 늦은 오후에 접하면 멜라토닌 분비가 억제돼 숙면을 방해한다는 사실을 규명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 ...
[3·1운동 100주년]일제강점기 조선인 과학자를 찾아서
2019.02.27
도저히 조선의 과학을 발전시킬 수 없다는 판단 아래, 조선인들로 구성된 과학계가
직접
나서서 스스로 발전을 추구한 것이었다. 이런 움직임은 크게 과학의 교육, 연구, 계몽 활동으로 나뉜다. 연희전문학교 수물과는 조선인 교수와 학생들의 주도로 연희수리연구회를 조직하고 잡지 ‘과학’을 ... ...
이전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