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산
제조
산출
저작
가공
수법
창작
뉴스
"
제작
"(으)로 총 5,279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급’ 정밀도로 기계부품 깍는다
2015.11.10
다이아몬드 공구를 가공할 수 있는 ‘비전도성 방전·연삭 하이브리드 가공 장비’를
제작
해 보이기도 했다. 박종권 연구원은 “가공하기 어려운 ‘난삭재’ 역시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첨단 IT제품은 물론 환경,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해 국내 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 ...
‘문화+과학’이 첨단산업 만든다
2015.11.08
뿐”이라고 말했다. 이런 작품활동은 또 다른 문화 창달로 이어진다. 영화 ‘신기전’
제작
팀은 촬영 당시 복원했던 조선 초기 ‘중신기전’을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 기증하기도 했다. 이 PD는 “한국의 재발견이 당장의 경제적 파급 효과만을 꾀하기 보다는 가치 있는 문화유산을 꾸준히 ... ...
미래의 아이언맨 ‘철갑’ 벗고 ‘섬유’ 입는다
2015.11.06
HULC)’나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개발한 ‘하이퍼(Hyper)’는 강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
됐다. 미군이 현재 차세대 군용 로봇으로 개발 중인 ‘탈로스(TALOS)’도 골격을 금속으로 설계했다. 하지만 최근 이런 갑옷형 로봇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전문가가 늘고 있다. 사람이 입고 움직이는 ... ...
걸그룹 브아걸 입에서 나온 말이 '힉스' '웜홀' '프랙탈'?
2015.11.06
식이다. 앨범을
제작
한 조용철 프로듀서는 동아일보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앨범을
제작
하기 위해 양자역학 서적과 다큐멘터리를 열심히 봤다”고 밝혔다. 신의 입자는 힉스의 별칭이다. 힉스는 1964년 영국의 피터 힉스 박사 등 물리학자 6명이 존재를 처음 예측했지만 존재하는 시간이 워낙 짧아 ... ...
반(反)물질끼리 충돌하면 어떻게 되나
2015.11.05
일어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미국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 제공 영화로도
제작
된 소설 ‘천사와 악마’에서 가공할 에너지를 가진 것으로 묘사되는 반물질(反物質)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물질과 모든 특성이 같지만 전하만 반대인 물질이다. 예를 들어 전자의 반물질인 양전자는 음극(-)을 ... ...
1㎠ 전기 공급하는 데 단돈 1달러, ‘나노발전기’ 개발
2015.11.04
배터리’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김 교수는 “나노발전기를 값싸고 빠르게
제작
할 수 있는 상용화 기술을 최초로 개발했다”며 “웨어러블 전자기기와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산업에도 폭넓게 응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재료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 ...
초등학생도 다룰 수 있는 3D 프린터 SW 나왔다
2015.11.04
구성돼 있다. 화면 속에서 스크롤바를 올리고 내리는 조작만으로 원하는 모습의 물체를
제작
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인터넷 등에 등록된 도면을 내려받아 출력 하는 수준이었다. 연구진은 이 기술과 함께 새로운 ‘3D 프린팅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도 개발했다. 이 소프트웨어는 3D 프린터로 ... ...
일본만 있나, 우리도 영하 271도 극저온 냉각장치 있다
2015.11.04
개발에 쓰인
제작
노하우는 의료 분야에서도 활용돼 MRI용 헬륨 용기
제작
에 쓸 수 있을 것”이라며 “2021년 완공되는 중이온가속기는 기술파급 효과가 클 것”이라고 밝혔다. ... ...
원자 한 층, 세상에서 가장 얇은 ‘그래핀 포장지’
2015.11.04
부도체를 감쌀 경우 표면이 금속처럼 작동하면서도 유연하게 잘 휘어져 차세대 소자
제작
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과학 분야 권위지인 ‘나노스케일(Nanoscale)’ 10월 29일 자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3차원 실리콘 기판에 그래핀이 코팅된 모습. 기판에 요철이 ... ...
검은 인, 흑린(黑燐)의 변신
2015.11.03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공동으로 흑린 원자막 소재를 이용해 안정적인 메모리 소자를
제작
해 ‘ACS 나노’ 10월 27일 자 온라인 판에 발표했다. 이영택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왼쪽)와 황도영 선임연구원(오른쪽). - KIST 제공 흑린은 전하이동도가 뛰어나 이를 활용할 경우 보다 성능이 ... ...
이전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