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쿨하게 열나게 온도의 과학과학동아 l2006년 12호
- 어느새 바람이 차갑게 느껴진다. 우리 몸은 온도에 꽤 민감하다. 보통 사람은 얇은 티셔츠 하나만 입고 있을 때 26℃에서 덥다고 느끼지만 4℃만 더 ... 차가운 정도만 알려주는데 그쳤다.화씨온도 : 현재는 물의 어는점(0℃)을 32℉, 끓는점(100℃)을 212℉로 정하고, 이 사이를 180등분한 눈금을 ... ...
- 메시에와 메섕과학동아 l2006년 12호
- 사망했다.메시에와 메섕, 이 두 사람의 평생에 걸친 노력으로 완성된 메시에 목록은 원래 100번까지의 천체를 담고 있었다. 그러나 훗날 후배 천문학자들이 10개를 보충해 오늘날에는 모두 110번까지 목록에 남아 있다.지금도 메시에는 메시에 목록이라는 이름 속에 남아서 별을 보는 모든 사람에게 ...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과학동아 l2006년 12호
- 전자파를 발견했다. 그동안 알지 못했던 이 전자파를‘X선’이라고 이름 붙였고, 발견 뒤 100년이 흐르면서 X선은 의료분야 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왜 숨을 들이 마실까X선 검사를 할 때 숨을 들이 마시고 참는 이유는 폐에 공기를 채워 기관을 확장시키고 흔들리지 않게 ... ...
-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과학동아 l2006년 12호
- 있다 기계적으로 처리하는 정보의 전송 데이터전송은 디지틀부호로서 전송속도는 50 · 100 · 200 · 1,200 · 2,400 · 4,800 · 9,600bit/s이다전화회선보다 넓은 대역을 사용하는 고속으로는 48Kbit/s가 있다디지틀부호는 베이스밴드의 신호대로 송수신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변복조장치(modem)에서 변조되어 ... ...
- DAY3-4 스페이스십투 타고 우주 가볼까과학동아 l2006년 12호
- 민간 우주선을 개발 중이다. 준궤도 비행은 우주가 시작되는 지점으로 불리는 지상 약 100km까지 올라간다. 준궤도용 우주선은 우주공간에 진입하긴 하지만 인공위성 궤도를 따라 계속 돌 만큼 충분한 속도를 내지 못하기 때문에 궤도 부근까지 올라갔다가 약 5분간 무중력 상태를 경험하고 다시 ... ...
- DAY 5-6 지구 궤도 진입 10분, 도착은 48시간과학동아 l2006년 12호
- 않을까.지구에서 보는 달은 토끼가 살고, 풍요로운 느낌을 전해준다. 하지만 달은 낮에 100℃가 넘고 밤에는 영하 150℃나 되는 척박한 환경이다. 달에 우주호텔을 만들어 생활하기 전까지는 편안한 여행을 기대하기 어렵다. 대신 우주선을 타고 달 상공을 선회한다면, 자전과 공전주기가 일정해 ... ...
- 생활 속 단위의 세계과학동아 l2006년 12호
- 69억평이라고 하는데 어느 정도인지 알기 힘들지만, 서울에서 전주 정도까지 거리(230km)에 100km를 곱한 넓이라고 생각하면 크기의 감을 잡을 수 있다.한국표준과학연구원 최종오 박사는 “평수로도 크기를 느낄 수 있다고 하는데, 사실 6척이 아니라 1.8m나 30cm를 기준으로 그 크기를 느끼고 있다”고 ... ...
- 미개척 전파에서 노다지 캔다과학동아 l2006년 12호
- 주사처럼 찔러 밀리미터파를 쏘는 탐침을 사용한다. 현재 쓰이는 저주파 치료기의 100분의 1 전력으로도 작동이 가능해 주변 세포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태울 수 있다. 연구팀은 사람의 유방암 세포를 주입한 생쥐의 암을 밀리미터파 탐침으로 제거하는데 성공했다.연구팀은 ... ...
- 환자 만족 높이는 한·양방 협진과학동아 l2006년 12호
- 도움이 되는 진료 방법을 찾는다는 말이다. 한방과 양방의 시너지 효과일본에서는 100여년 동안 이런 연구가 매우 활발했고, 실제로 현대의학에 한의학을 보조적으로 사용해 만족할만한 효과를 얻었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발표됐다.정신질환을 앓는 환자 중에는 정신과 약물을 복용하면서 불쾌한 ... ...
- 맛있는 빛의 요리사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12호
- 클릭! 애니멀동물의 눈에는 어떻게 보일까?2억 개의 후각세포를 가진 개는 사람보다 100만 배나 냄새를 잘 맡는다. 그렇다면 개의 시각은 어떨까? 커다랗고 맑은 개의 눈을 보면 시력도 좋을 것 같지만 그 반대다. 개의 눈은 색맹에 가까우며 지독한 근시다. 게다가 색깔을 느끼는 원추세포가 매우 적어 ... ...
이전4584594604614624634644654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