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개저씨’와 ‘꼰대’를 위한 변명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인류의 유전자 풀에서 E3나 E2로 점차 대치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E4유전자를 하나 이상 가진 사람은 수명이 4년 이상 짧아지고, 폐경도 더 일찍 일어난다. E3를 가진 사람보다 알츠하이머형 치매에 걸릴 확률이 3배 높다. 심지어 E4유전자를 두 개 가진 사람은 치매 확률이 무려 5~10배까지 ... ...
- [Knowledge] ‘휘어진 시공간’은 어떻게 증명한 걸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또는 공간이 중심적인 개념이 된다. 일반상대성이론에서 가장 흔히 등장하는 개념 중 하나가 휘어진 시공간인 까닭은 바로 시간과 공간에서 평행선의 공리가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이제 드디어 일반상대성이론의 탄생이 눈앞에 다가 오고 있었다. 과연 리만 기하학을 사용하면 등가원리를 잘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시스템의 현대차, 재료의 도요타”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충전소가 없어서 당장 수소차를 산다 해도 100% 활용하긴 힘듭니다. 서울에도 충전소가 딱 하나뿐입니다.Q 후배 공학도에게 조언을 한다면.공학은 과학과 달리 응용과 실행을 항상 염두에 둬야 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자동차 설계도를 완벽히 알아도 단번에 자동차를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
- [Hot Issue] 류현진, 네 탓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투수를 평가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 평균자책점이다. 그런데 여기에는 하나의 맹점이 있다. 내가 응원하는 팀이 점수를 주는 상황을 한번 떠올려보자. 투수가 연속 안타를 맞고 점수를 주기도 하지만 수비수의 어이없는 실수(실책)로도 점수를 준다. 명백한 실책은 수비에 의한 실수로 ... ...
-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것에 저항하려는 점성이다. 커다란 관에서는 점성력보다 관성력이 훨씬 크다. 관이 하나인 수도꼭지에 뜨거운 물과 차가운 물을 틀면 움직이려는 힘이 커서 물이 잘 섞인다. 하지만 미세채널에서 이렇게 했다가는 한 손은 뜨거운 물, 반대는 차가운 물로 씻게 될 것이다. 미세채널에서는 관성력보다 ... ...
- [Knowledge] 길고 짧은 건 '단위'로 재봐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여러 나라가 모여 정확히 1m에 해당하는 길이를 약속하고, 그 길이를 갖는 금속 막대를 하나 만들어 프랑스에 보관하자는 내용이었다. 이후 모든 나라가 정확히 1m인 이 금속막대를 표준원기로 공유하게 된다.약 200년이 지난 1960년까지 이 방식으로 1m를 정의했다. 측정 오차가 약 100만분의 1에 불과할 ... ...
- [Knowledge] 건축물 진단하는 ‘문화재 의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없는 경우였지요. 물론 문화재청은 첨성대에 대한 안전 진단과 조사를 더욱 강화해 만에 하나 있을지 모르는 문제에 대비하고 있습니다.원형 유지하며 문제 예방하는 ‘문화재 의원’“신륵사(경기 여주), 창경궁(서울), 불국사, 첨성대, 분황사지(이상 경북 경주)….”조 연구관의 3월 일정표에 적혀 ... ...
-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되었다. 타티아나는 아들의 눈이 되어 수학에 대한 책이나 논문을 읽어 주었다. 수학을 하나도 몰랐기 때문에 합집합 기호 ∪는 ‘위를 향한 꼬리’, 교집합 기호 ∩는 ‘아래를 향한 꼬리’처럼 수학기호를 생김새대로 읽어주었다고 한다.폰트랴긴은 위상수학에서 쓰이는 여러 개념을 고안했다. ... ...
- 화재 막는 과학 우리 집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전류보다 훨씬 많은 전류가 흐르면서 전선에 과부화가 걸려 열이 발생하거든요. 실제 하나의 콘센트에 전열 기구 플러그 4~5개를 꽂으면 3분 안에 전선에 불이 붙지요.전열 기구 중에서도 화재 사고가 가장 많이 나는 기구가 바로 전기장판이에요. 작년 한 해 동안 전기장판으로 인한 화재는 15 ... ...
- [Hot Issue]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사무관도 미처 예상하지 못했는지, 말을 잃었다. 한참 만에 입을 연 사무관은 나무 하나를 유심히 살피더니, “이 나무는 탈출공이 없는데? 이거 한 번 잘라봅시다”고 외쳤다. 작업자가 전기톱으로 나무를 잘랐다. 가르는 족족, 반투명한 노란색을 띤 애벌레가 우수수 떨어져 나왔다. “나무마다 ... ...
이전4584594604614624634644654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