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탈 논문 여기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지지대의 모양을 바꾸면서 점차 모델은 자리를 잡아갔다.반면, “고등학생 수준에서
가능
한 연구같이 보였다”는 노경만 학생의 말처럼 상대적으로 이미 많이 연구돼 있어 친숙한 ‘사이클로이드’는 수월해 보였다. 그런데 너무 흔해서 문제였다. 평범한 주제를 반복하는 것보다 새로운 이야기를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만들어 칩 속에 담았다. 이를 통해 비행체는 스스로 어떤 게 장애물인지 결정하고
가능
한 최단거리 경로로 갈 수 있는 길을 계산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비행체는 53회의 비행 실험에서 바람의 영향으로 2번 추락한 것을 제외하고 장애물 회피 비행을 51회 성공했다.2011년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 ...
빙하가 녹으면 바이러스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인류와 현재 생태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결정적인 사례는 아직 없다. 다만 여러 가지
가능
성과 가설이 제기되고 규명하기 위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어떤 항생제에도 효과가 없는 슈퍼 박테리아의 출현과 새로운 질병(병원균)의 창궐은 생태계나 지구환경의 교란 때문에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모으는 스테인리스 그릇이 오목렌즈 역할을 할 수 있다. 집 안에서 볼록렌즈 역할을 할
가능
성이 있는 것은 조그만 둥근 어항이다. 베란다를 통해 거실로 들어오는 햇빛이 모아져 우연히 불에 잘 타는 물질에 초점이 맞으면 발화할 수 있다. 음료수가 들어 있는 페트병을 베란다에 보관할 경우에도 ... ...
고독한 우주의 방랑자, 외톨이 행성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수 있으므로 생명 유지가
가능
하다.외톨이 행성이 다른 별에 끌려 들어가 정착할
가능
성도 있다. 큰 별은 거대한 중력으로 근처에 있는 천체를 끌어들인다. 하지만 질량이 큰 별은 수명이 짧으므로 행성 역시 별과 운명을 같이 해야 한다. 영원히 외롭게 떠도는 삶과 짧아도 별과 함께하는 삶. 우리가 ... ...
[체험] 소행성 접근, 수학으로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아포피스의 궤도가 바뀔 수는 있다고 한다. 하지만 2029년에도, 2036년에도 지구와 충돌할
가능
성은 거의 없다.독자기자의 취재 수첩독자기자들은 이번 취재에서 무엇을 배우고 느꼈을까? 이홍주, 허지원 독자기자의 취재 수첩을 지금 바로 공개한다!수학+지구과학+물리가 만나면?!이홍주(대전 전민고 3 ... ...
[2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않는다. 항바이러스 약물도 없다. 하지만 대부분 치료를 하지 않아도 자연적으로 치유가
가능
하다. 노로바이러스에는 많은 종류가 있어서 다른 종류의 노로바이러스에 의해 재감염될 수 있다. 그래서 백신 개발이 힘들다.노로바이러스는 조리 전후 손 씻기를 생활화하고 음식과 물은 가급적이면 85℃ ... ...
BRIDGE. 대한민국 무인기는 ‘트랜스포머’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스마트무인기사업단은 지난해 수직 이착륙과 고속 비행이
가능
한 ‘틸트로터’ 무인기 개발에 성공했다. 개발 기간은 약 10년. 이륙할 때는 헬리콥터처럼 프로펠러(로터)가 달린 날개를 수직으로 세웠다가 비행할 때는 일반 비행기처럼 수평으로 바꾼다. 영화 ‘트랜스포머’에서나 봤을 법한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조건에 대한 정보가 있다면 얼마든지 설계해서 시험할 수 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도
가능
하고 비슷한 환경의 고고도 시험을 통해 개발할 수도 있다. 사람보다 더 똑똑한 ‘살아 있는’ 무인항공기가 이제는 지구의 하늘뿐만 아니라 다른 행성의 하늘도 지배하는 미래가 언젠가는 찾아올 것이다 ... ...
암 전이 메커니즘 밝혀냈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증식을 반복하지만, 어느 정도 자라게 되면 일부 암세포가 이동할 수 있는, 즉 전이가
가능
한 형태로 바뀐다. 그동안 암세포의 이동에 칼슘 이온이 관련된 것은 알려져 있었지만 어떻게 조절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708번 마이크로RNA가 평소에는 칼슘 이온의 기능을 억제해 ... ...
이전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