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9,811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방역에 구리가 도움?...전문가들 “항바이러스 기능 있지만 맹신 말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6.21
구리로 인해 제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치명적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또
실험
실에서 잘 작동하는 기전이 반드시 현실 세계에서 통하는 법은 아니다. 존슨 박사는 구리 성분이 포함된 얼굴 마스크를 감염병 차단용으로 추천하는 것을 유예하고 있다. 구리가 면역력을 높이는 데 큰 ... ...
대기·물 속 미세먼지·미세플라스틱 ‘꼼짝마’...KIST·서울대 ‘나노갭 전극’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21
개발 및 암 진단 마커로 주목받고 있는 세포밖소포체와 치매 단백질 선별 농축, 위치제어
실험
에도 성공했다. 세포밖소포체는 엑소좀으로 불리며 세포에서 배출된 단일막으로 이뤄진 납작한 주머니 모양의 세포 분리체를 말한다. 연구진은 “개발한 나노갭 전극을 공기 또는 물 필터에 활용할 ... ...
[표지로 읽는 과학]코로나19 바이러스 증식 막는 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0.06.21
복제와 전사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셈이다. 다이 웬하오 중국과학원 신약연구국가중점
실험
실 교수팀은 중국 나카이대, 난징대 의대 등과 공동으로 Mpro를 억제하는 약물 두 개를 설계해 지난 4월 23일 이같은 연구결과를 사이언스에 발표했고, 이번주 표지로 선정됐다. 연구팀은 단백질과 화합물의 ... ...
연어는 왜 中 베이징 코로나19 확산 주범으로 찍혔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6.20
팬데믹이 된 상황에서 중국인에 대한 비난이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중국 우한 바이러스
실험
실에서 유출됐다는 음모론까지 등장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세계적인 팬데믹으로 치달은 코로나19에 대한 비난의 화살을 연어에게 돌리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지난 18일 중국 보건 당국은 베이징 ... ...
"코로나19 바이러스 코속·침보다 분변에 더 오래 남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는 분변 속 바이러스가 전파력을 갖는지 배양하는
실험
을 하지 않았지만, 기존 연구에서 분리 배양에 성공한 사례가 있고 전파력이 바이러스 농도와 관련이 깊은 만큼 화장실 사용시와 기저귀 교체시 위생에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비록 2주차부터 ... ...
코로나19로 주목 받는 항체 '칵테일'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코 등의 검출물 속 바이러스 농도를 100분의 1까지 줄이는 효과를 확인했으며 현재 영장류
실험
을 진행 중이다. 7월 중 임상시험용 항체치료제를 생산한다는 목표다. ... ...
'암흑물질' 후보입자 검출? 국제연구팀 발표에 물리학계 떠들썩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수 있다. 이런 일종의 ‘잡음’은 계산을 통해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실험
기간 동안 발생할 잡음 신호의 수는 232개로 예측됐다. 하지만 실제로는 285개가 관측돼 53개의 추가 충돌이 발생했다. 추가 충돌 신호는 주로 7keV(킬로전자볼트) 이하의 에너지 영역에서 발견됐으며, 특히 2~ ... ...
코로나19 백신 국내 첫 임상 최준용 교수 “내년 상반기 3상 완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중화항체 지속 기간도 백신 개발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다. GX-19가 아무리 동물
실험
에서 유효성이 입증됐다고 해도 사람 몸에서 중화항체가 얼마나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돌연변이 발생 여부를 장담하기도 어렵다. 돌연변이가 생기면 임상 ... ...
中, 서울-도쿄 거리 위성 양자암호통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6.18
효율을 높였다. 먼저 중국의 선전시 난산구와 여기에서 1120km 떨어진 더링하시에 양자
실험
을 위한 기지국과 지름 1.2m짜리 망원경을 각각 건설했다. 여기에 묵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설치하고 렌즈의 표면 특성을 개선하거나 광학 장비의 설계를 변경하는 등 통신 효율을 높이는 작업을 ... ...
[기자의눈]스웨덴은 어쩌다 면역정책에 실패한 나라가 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실패했다는 것이다. 스웨덴 사례를 보도한 기사에는 스웨덴 정부가 국민을 상대로 인체
실험
을 한 게 아니냐는 댓글들이 어렵지 않게 눈에 띈다. 국민의 목숨으로 도박을 벌인 국가라는 좋지못한 별명까지 얻었다. 어쩌다 북유럽의 이미지 좋던 국가가 한순간에 이런 오명을 뒤집어 썼을까. 서울에 ... ...
이전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