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363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인 달 탐사 본격화할까...역대급 우주발사체 'SLS' 16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2.11.14
궤도를 뜻한다. SLS 외에도 대형 우주 발사체들의 발사가 속속 이어지고 있다.
미국
우주개발기업 스페이스X는 지난 1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미 우주군 위성을 실은 '팰컨 헤비'를 발사했다. 팰컨 헤비는 높이 70m, 폭 12.2m의 대형 발사체로 보잉747 18기가 한번에 내는 힘과 유사한 추력을 가졌다. ... ...
"치매 환자는 암에 안걸릴까"...연결고리 찾아 치료제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4
서울보라매병원, 지아이바이옴, 지아이셀 등 국내 연구기관과 대학, 기업을 비롯해
미국
존스홉킨스대, 영국 칼리지런던대, 일본 요코하마시립대 등 해외 유명 기관들까지 31개 기관이 참여했다. 이 클러스터장은 “최종적으로 치료제나 질환 발병을 확인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등을 개발하는 게 ... ...
"올해 화석연료 탄소배출량 역대 최대 경신"
동아사이언스
l
2022.11.13
4%씩 감소해야 한다. 그래야 20세기 중반 배출량이 ‘제로(0)’가 될 것으로 분석한다.
미국
환경싱크탱크인 ‘리소스포퓨처’의 리차드 뉴웰 설립자는 “세계는 여전히 에너지의 약 80%를 화석 연료에 의존하고 있다”며 “성장하는 경제가 화석 연료에 의존한다면 배출량도 당연히 증가할 ... ...
허리케인 견딘 역대 최강 우주로켓 'SLS' 16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2.11.13
가운데 추력이 가장 큰 것으로 평가받는다. SLS는 반 세기만에 사람을 달로 보내려는
미국
의 유인 담 탈사계획 ‘아르테미스’에 쓰일 예정이다. 이번 발사에 성공하면 아르테미스 계획의 첫 시작을 알리게 된다. ... ...
경기장은 거대한 냉방시스템...2022 카타르 월드컵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22.11.12
낮은 확률이라 놀라움이 컸습니다. 최근엔 인공지능이 승부를 대신 예측합니다. 지난 6월
미국
의 스포츠분석 기업 디애널리스트는 모든 조의 경기를 1000번 이상 가상 경기로 시뮬레이션해 본 결과 프랑스가 17.93%의 확률로 우승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밝혔습니다. 디애널리스트가 공개한 한국의 우승 ... ...
[과학게시판] 과기정통부·한국방사선진흥협회, 2022 방사선 과학기술 산업진흥 연차대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12
대한 견해를 교환했다. 오태석 제1차관은 “우리나라의 최우선 기술개발 협력국인
미국
의 자국기술보호 중심의 정책이 강화되는 상황에 대응해 우리의 첨단기술 산업 발전이 저해되지 않도록 사전에 발생 가능한 이슈를 도출해야 한다”며 “바이오‧원자력 분야 외에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스타트업 커뮤니티 빌더 아카데미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12
커뮤니티 빌더 아카데미(K-ABC)’를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인
미국
테크스타즈와 협력하는 이 행사는 지역 중심의 스타트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다. 자세한 내용 및 참가 신청 방법은 KAIST 창업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202 ... ...
[표지로 읽는 과학] 양이 사라지면 식물 다양성이 감소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11.12
식물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져 있다. 2014년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연구에서 목초지에서 초식동물들이 풀을 뜯으면 식물에 닿는 빛의 양이 증가해 식물들의 생물다양성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 ...
한국인 우울증 원인 찾는 대규모 연구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2.11.11
한국인 우울증 유전자 연구 ‘코모젠D(KOMOGEN-D)’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 프로젝트는
미국
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로부터 2021년부터 2026년까지 5년 간 약 70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서울대병원은 안용민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을 총괄 기관으로 37개 종합병원과 코모젠D 연구를 진행 ... ...
유전자가위로 암 치료 가능성 열려…
미국
연구진 임상시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11.11
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개발해 202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가 이끌고 있는 회사다. ... ...
이전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