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북
각
hadj
haji
d라이브러리
"
하지
"(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떼를 지어 생활하던 논병아리가 쉽게 찾아지지 않은 것으로 보아 낙동강하구쪽으로 이동
하지
않았나 하는 추측을 낳기도 했다. 실제로 탐사대는 을숙도 주변에서 논병아리를 여러 개체 발견했다. 특히 거제도 북쪽 연안에서는 논병아리 이외에도 검둥오리사촌 등이 사라지고 갈매기류만 ... ...
고정관념서 벗어나자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3단계로 분류되는데, 그 첫단계는 '비분할 결합'이다. 비분할 결합이란 어떤 물건을 분할
하지
않고 그대로 다른 용도에 사용하든지, 또한 다른 물건과 결합시켜서 두가지 이상의 용도를 갖게 하는 것을 말한다.연필에 지우개를 붙여 만든 지우개 달린 연필, 시계에 라디오를 더해 만든 시계겸용 ... ...
의료분쟁 해마다 증가추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늘어나게 된다. 물론 이것도 방어진료의 일환이다. 즉 나중에 "환자가 왜 이런 검사를
하지
않았느냐"고 추궁할 때를 대비하고 "검사 당시에는 아무런 소견을 보이지 않아 그 병인줄 몰랐다"는 자기방어를 하기 위해 과잉검사와 투약을 할 개연성도 없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방어진료는 환자에게 ... ...
발명가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발명에서의 실패는 두 가지 교훈을 준다. 무엇때문에 실패했는지를 알게 해주고,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스스로 독창적인 사람이 되라독창적인 사 ... 기록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주전자뚜껑이 수증기에 들썩거리는 것을 보고 증기기관을 발명
하지
않았다던가 ... ...
이빨이 말해주는 것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필요로 하긴
하지
만 아직도 매우 건강하다. 물론 인간은 파충류처럼 새 치아로 교체
하지
는 못한다.)아무튼 이빨로부터 얻은 정보는 나이든 공룡과 어린 공룡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출생률과 같은 사실들에 관한 정보도 제공한다. 또한 약탈동물의 수와 희생되는 동물의 수를 예측하는 ... ...
고려청자 비색의 비밀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한때는 인(P) 성분이 그 속에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아직 확실
하지
않다."강진 고려청자사업소를 27년째 지켜온 도공 이용희씨는 "유약에는 기본성분 외에 초목분을 태운 회유가 포함된다. 이 배합을 과학적이라고는 말할 수 없지만 수많은 경험으로 만들어 낸다. 청자의 색은 ... ...
별자리, 왜 계절에 따라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정의되지 않는다. ( )④ 추분점은 가을철 별자리에 있다. ( )⑤ 황도는 천구의 적도와
하지
점, 동지점에서 만난다. ( )⑥ 황도란 태양이 떠서 질 때까지 하늘에 그리는 궤적이다. ( )⑦ 추분점의 적도 좌표는 α=${12}^{h}$, δ=-23.5°이다. ( )⑧ 적경α가 ${10}^{h}$<α<${14}^{h}$인 별들은 봄철의 별자리를 ...
문자다중방송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볼 수 있다. MBC 문자방송부 김건영 부국장은 "특정한 이벤트를 이용해 문자방송을 홍보
하지
못한 책임이 크다"며 "앞으로 대학입시나 선거때 문자방송의 필요성을 일반인들에게 알리는데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국회의원 선거의 경우 문자다중방송을 이용하면 자기가 관심이 있는 지역구의 ... ...
고혈압의 주범은 소금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따르면 칼슘이 많은 음식을 거의 먹지 않는 사람들은 고혈압이 될 위험도가 더 높다고
하지
만 이 사실에 회의하는 과학자들은 그것이 칼슘 부족때문인지 그런 음식에 있는 다른 요소 탓인지 아직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한다. 또한 칼슘을 더 공급해서 혈압을 조절해보려고 시도한 결과는 ... ...
우주수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호기심 때문에 무엇인가를 탐구하곤 하는데 그 결과는 우리가 답이 있으리라고 기대조차
하지
않았던 문제에 대한 답을 주곤 하는 것이다.과학의 역사를 살펴보면 그와 같은 사례들이 얼마든지 있다. 최초의 현미경 사용자중 한명이었던 앤톤 반레벤호크는 박테리아를 처음으로 발견한 인물이었다. ... ...
이전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