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d라이브러리
"
날
"(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숲에서 오감의 즐거움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모습도 진풍경이다. 무섭게만 느껴졌던 나방의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도 있다. 나방의
날
개를 잡고 더듬이를 살펴보면 미세한 털들로 인해 폭신한 깃털이 연상될 정도로멋진 더듬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총천연색을 구별한다. 황조롱이는 심지어 자외선까지 구별해낼 수 있다고 한다.다섯째
날
아침 탐사팀이 찾은 곳은 전북 부안군 진서면 운호리 운호저수지와 줄포면 만화동 반계선생유적지 입구. 팀원들은 생물교사답게 주변의 다양한 동식물을 관찰하고 카메라에 담느라 시간 가는 줄 몰랐다 ... ...
오염물질 정화하는 자연의 콩팥 갯벌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지난 10여년 간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새만금 간척사업이 다시 핵심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지난 7월 15일 서울행정법원은 새만금 사업을 잠정 중단하라는 집행정지 명령을 ... 서해안에 위치한 한 오래된 갯벌의 생사를 두고 벌어지는 논쟁의 결과는 이제 곧 우린 앞에 드러
날
전망이다 ... ...
우주에서 벌어지는 기상천외한 실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조건을 가정하고 많은 실험을 해볼 수는 있겠지만 예상을 벗어나는 일은 얼마든지 일어
날
수 있다. 앞으로 또 어떤 실험들이 진행돼 새로운 발견이 나올지 관심을 가져볼만하다 ... ...
제16회 국제물리공동탐구토론대회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6위를 차지했다.2라운드에서 한국팀은 우크라이나팀, 오스트리아팀과 만나 ‘연이
날
때 8자를 그리는 현상’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했다. 2라운드에서도 43.4점이라는 괜찮은 점수를 얻었지만, 종합순위는 7위에 머물렀다. 그러나 3라운드에서 한국은 ‘진동하는 상자’ 문제를 발표하고 ... ...
무기·복제·인공지능이 단골 메뉴 무지와 광기가 만든 마법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또다른 관심은 생명공학과 인간복제다. ‘멀티플리시티’ ‘저지 드레드’ ‘여섯번째
날
’ 같은 영화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영화 속에 나타나는 인간복제 기술은 현실의 기술과는 동떨어진 몇가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인간은 완성된 모습으로 복제되지 않는다. 하나의 수정란으로 시작된 ... ...
95광년 밖에서 태양계의 형제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우주 어딘가에 또다른 지구가 있을 것이라는 상상을 해본다. 이런 꿈이 현실로 나타
날
날
이 멀지 않을지도 모른다. 우리 태양계와 비슷한 행성계가 마침내 발견됐기 때문.지난 7월 3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태양계 밖 행성: 오늘과 내일’이라는 제하의 모임에 참석한 영국 리버풀 존 모레스대의 ...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실험실에서도 액체질소나 액체헬륨의 온도를 생성할 수 있게 됐다.오늘
날
아무리 더운
날
에도 영하의 온도를 경험하는 일은 당연하게 여겨지고 있다. 즉 77 K, 영하 1백96℃의 액체질소를 시중의 음료수보다 싼 가격에 구입할 수 있게 됐다. 또한 과거 몇몇 과학자만이 이용할 수 있었던 액체헬륨조차, ... ...
실험실에 떠오른 목성과 무지개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낮고, 한쪽에서는 비가 오거나 공기 중에 물방울이 떠있으며, 다른 한쪽에는 햇빛이
날
때 태양을 등지고 서면 반원형의 무지개를 볼 수 있다. 공기 중에 떠있는 수천-수만개의 작은 물방울은 프리즘 역할을 한다. 빛이 물방울을 통과한 후 여러가지 색깔로 분리돼 나타난 것이 바로 무지개다.검은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수 있을 것이다.8월 4일 충을 맞이하는 해왕성은 현재 염소자리 한중간에 위치해 있다. 이
날
은 음력 7월 7일인 칠석이다.해왕성의 밝기는 8등급으로 다소 어두워 쌍안경을 쓰지 않으면 볼 수 없다. 또, 해왕성은 천왕성에 비해 움직임도 매우 느리다. 천체사진 매니아라면 이 무렵 화성과 천왕성, ... ...
이전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