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조사
감시
검사
조회
목격
지각
d라이브러리
"
관찰
"(으)로 총 5,048건 검색되었습니다.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때문에 표면밝기는 매우 어둡다. 아주 어둡고 투명한 밤하늘 아래서만이 7×50 쌍안경으로
관찰
이 가능하다.독자들이 이 은하를 찾는다면 M101은 달크기 1/4정도인 상대적으로 밝은 은하핵만 희미하게 볼 수 있을 것이다. M101은 약 1천5백만 광년 떨어져 있고, 그 직경만 10만 광년이 넘을 것이다. 이것은 ... ...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 태아기에 결정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명확해질 것이기 때문이다.아무튼 태아의 92%가 오른손을 빨고 8%가 왼손을 빤다는 헤퍼의
관찰
결과는 총인구중 90%가 오른손잡이고 10%가 왼손잡이인 것과 매우 유사하다. 이런 결과는 왼손잡이냐 오른손잡이냐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됨을 암시하고 있다고 헤퍼는 주장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것처럼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조상들의 식생활을 유심히
관찰
해 보면 공해시대에 사는 현대인이 반드시 먹어야 할 음식목록이 나온다.이제는 공해라는 말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또한 환경오염이라는 말도 누구나 아는 용어다. 환경오염이 사람에게 해를 미치는 것을 우리는 공해라고 한다. 공해물질은 우리 몸에 서서히 침입해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물체가 착륙한 쪽으로 가까이 다가가서 작은 부속건물 뒤쪽에 몸을 숨기고 그 동작을
관찰
했다. 1분이 채 못되어 그 물체는 갑자기 떠오르더니 낮은 휘파람소리를 내면서 맨처음 날아왔던 방향으로 되돌아 갔다. 그 물체가 사라진 후 콜리니씨는 즉시 착륙지점으로 뛰어갔고, 거기서 둥근 착륙 ... ...
돈없이 사장되는 지름길 보통머리로 발명왕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뚫렸던지 통속의 니트로글리세린이 뚝뚝 떨어져서 모래에 스며들고 있었다. 좀더 자세히
관찰
해 보았더니 인절미처럼 굳어지는 것이 아닌가.이 광경을 지켜 본 노벨은 '이것은 어쩌면 폭발하지 않을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그 조그만 덩어리를 돌멩이로 두들겨 보았다. 안전했다. ... ...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먹이로 먹으면 물과 함께 입으로 들어가 물이 아가미로 나갈 때 아가미에 달라붙는 것이
관찰
됐다. 지느러미는 계속 움직이기 때문에 부착의 기회가 많아진다. 유생은 주로 아가미와 가슴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에 많이 붙는다. 미끄러운 비늘에는 달라붙지 못하고 입가나 눈위에 붙는 경우도 있다 ... ...
살아있는 과학퀴즈 정전기의 신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있던 마그네시아지방의 양치기 소년이 주운 이상한 돌을 그리스 철학자 탈레스가 유심히
관찰
해 발견한 것이 자석이다. 또 털가죽으로 비빈 호박(보석의 일종)에 가벼운 종이나 깃털을 접근시키려면 서로 붙게 된다. 그후 오랜 세월이 지난 뒤 두 현상 사이에 어떤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그는 공룡의 알화석에 관해 이미 많은 논문을 발표한 바 있는 유명한 학자다. 표본을
관찰
한 에르벤교수는 당장 그 화석의 산지를 안내해줄 수 없겠느냐고 부탁했다.현지에 찾아가 보았으나 10년 사이에 변한 것이 너무 많았다. 화석을 채집한 바로 그 자리에는 불행하게도 어구(漁具)를 넣어두는 ... ...
혜성·신성·변광성을
관찰
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밝기 때문에 광학기구 없이도 그들의 변화를
관찰
할 수 있다. 그러나 쌍안경을 사용하면
관찰
할 수 있는 숫자가 수천개로 늘어난다. 밝은 변광성의 하나인 세페우스자리 유성(μ cephei)은 하늘에서 가장 붉은 별의 하나다. 위대한 관측자 윌리엄 헤셀에 의해 '석류석'으로 이름지어진 이 별은 ... ...
화산재하면 돌가루만 연상했는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탐사라고 생각합니다.정창희 규슈의 지형을 짧은 일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나름대로 잘
관찰
하신 것 같아 다행입니다.일본에 활화산이 많은 까닭은 판(板)구조론에서 말하는 두 판의 경계부위가 두군데나 있기 때문이죠. 그 하나는 유라시아판과 태평양판이 부딪치는 일본해구이고, 다른 하나는 ... ...
이전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