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게놈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0901
20명이 되면 가칭 ‘한국인 DNA 전당’을 만들어 게놈 지도를 공개할 계획이다. 하지만 서
교수
는 “DNA 해독 기술의 발전도 중요하지만 이 기술이 유전학에 근거한 우생학으로 변질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박종화 센터장도 SNP 해석을 두고 “(기존에 알려진 질병과 ... ...
넌센스! 오징어먹물 염색약
과학동아
l
200901
오징어먹물은 오래전부터 색소로 쓰였다. 18세기 후반 독일 드레스덴의 야콥 세이델만
교수
는 오징어먹물을 처리해 색소로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렇게 얻은 색소가 ‘세피아’(sepia)로 그리스어로 ‘오징어’란 뜻이다. 세피아는 일부 오징어류의 속명이기도 하다. 식탁에 오르는 갑오징어의 ... ...
요즘 태양은 왜 민얼굴인가요?
과학동아
l
200901
예측하려면 아직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고 덧붙였다.한국천문연구원은 서울대 채종철
교수
팀과 함께 구경 1.6m인 세계 최대 규모의 신형 태양관측망원경(NST)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빅베어 태양관측소에 설치될 NST로 흑점의 자세한 구조와 흑점 주변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 ...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IPSAP
과학동아
l
200901
최적화된 각도를 찾은 셈이죠.” 컴퓨터에서 풍력발전기, 그리고 디스플레이까지 김
교수
의 도전의 끝은 어딜까.컴퓨터에 ‘입샙’만 깔면 최첨단 로켓부터 친환경 풍력발전기까지 척척 설계한다.병렬컴퓨팅 환경을 뒷받침하기 때문에 효율도 뛰어나다.다이아몬드처럼 빛날 ‘입샙’의 미래에 ... ...
2009년 기축년(己丑年), 소를 생각한다
과학동아
l
200901
발표한 세계 최초의 복제 개 ‘스너피’에 이어 2007년 서울대 수의대 이병천
교수
팀이 역시 세계 최초로 늑대를 복제하는데 성공함으로써 우리나라는 동물복제의 메카가 됐다. 지난해에는 애완견 복제를 시작함으로써 복제 상업화의 막을 올렸다.지난해 초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복제소나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01
이런 명함용 사진은 성스러운 과학자의 이미지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김창배
교수
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동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미국 예일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다가 2000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을 거쳐 2008년 상명대에 부임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 ... ...
녹차밭의 곡선미와 부산항의 역동성 공존
과학동아
l
200901
160여장 하나하나마다 상세한 설명이 한글과 영어로 써있고 책 앞부분에 실린 이어령
교수
의 글이 품격을 더하고 있다.한국의 하늘을 비행하면서 많은 생각과 감정들이 밀려왔습니다. 어떤 때는 안타까움이, 다른 때는 경이로움이, 또 다른 때는 애잔함이 카메라 속으로 자연스럽게 흘러왔습니다. ... ...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에서 최초로 위석(胃石) 발견
과학동아
l
200901
참여시키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다행히 미국 남부감리대의 루이스 제이콥스
교수
(전 척추고생물학회 회장)와 캐나다 앨버타대의 필립 커리
교수
(차기 척추고생물학회 회장)가 공동연구에 합의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몽골과학원, 남부감리대, 앨버타대의 공룡학자들을 주축으로 하고 ... ...
개과천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01
애견인구 500만 명, 전체 가구의 약 15%는 애완견과 함께 살고 있고 불황에도 애견용품 판매량은 지난해보다 10% 이상 증가했다. 그야말로 견공(犬公) 의 ‘전성시대’다.하지만 저 멀 ... 수상2001 추계 애견훈련경기대회 최우수상 외 다수 수상2004~현재 천안 연암대 애완동물훈련학과
교수
...
자동차 타고 떠나는 물리 여행
과학동아
l
200901
물질의 전자구조 이론으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로 있으면서 전이금속 산화물의 물성이론과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계산과학 연구를 하고 있다. 과학을 좋아하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현상에 호기심을 갖고 질문하고 탐구하는열린 마음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 ...
이전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