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뉴스
"
가능
"(으)로 총 22,827건 검색되었습니다.
300평 '스마트 팩토리'에서 제조공정 혁신 인재 키운다
과학동아
l
2023.08.05
스마트산업단지는 정보통신기술(ICT)을 전체 공정 과정과 접목해 효율적인 생산과 관리가
가능
하게 만드는 게 목표다. 그러기 위해서는 설비뿐만 아니라 인력이 필요했다. 공장에 들어가는 각종 ICT 기술을 연구하고 물류의 흐름과 네트워크 등 빅데이터를 다룰 줄 아는 인재. 창원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근거없는 주장 펴는 사람, '가짜뉴스'에 더 잘 속아
2023.08.05
성장했다는 뜻이니까. 반대로 자신은 절대 틀리는 일이 없다고 하는 사람이 성장할
가능
성은 그닥 높지 않을 것이다. 자신이 항상 옳다고 생각하면 단기적으로는 기분은 좋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시간이 지나도 성장이 없고 정체되어 있다는 점에서 생산적인 삶을 살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삶의 ... ...
LK-99 검증위 “현재까지 상온 초전도성 확인 해외 연구는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8.04
3개 기관이 진행중이다. 퀀텀에너지엔구소가 제작한 원래 시료가 상온 상압 초전도체일
가능
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추가로 시료를 제공받아 교차 측정도 진행할 계획이다. 검증위는 다만 재현을 위한 시료 제조에 필요한 재료인 황산납 수급이 2주 이상 소요돼 시료 재현 측정 결과가 나올 ... ...
[의학바이오게시판] 정수연 이화의료원 교수, 동아시아음성학회서 포스터 발표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04
정수연 이대목동병원 이비인후과 및 두경부외과 교수. 이대목동병원 제공. ■ 이대목동병원은 4일 정수연 이비인후과 및 두경부외과 교수가 일본 센다이에서 열린 ‘제13회 ... 안 교수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출산 직후가 아니어도 원스테이지 수술법 적용이
가능
하다는 점을 제안했다. ... ...
‘극한소재 실증연구기반조성사업 이용자 협의회’ 출범
동아사이언스
l
2023.08.04
환경 조건에서 사용하는 ‘극한소재’는 우주항공, 가스터빈, 액체수소 저장 등에 활용
가능
한 국가전략 소재다. 첨단기술 분야에서 이러한 소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극한소재 성능을 평가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4일 오후 2시 서울 상연재에서 ... ...
집 벽면이 거대한 배터리로...‘시멘트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04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추가로 개발해야 한다. 크기가 커질 경우 전기 전도성이 떨어질
가능
성이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전도성을 높이기 위해 카본 블랙을 더 첨가한다면 시멘트 구조가 약해진다”며 “장치의 크기를 확장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과제로, 이를 해결하면 저렴하게 전력을 지속 ... ...
퀀텀에너지硏 'LK-99' 검증위 "상온 초전도체 특성 입증 부족"
2023.08.03
전기저항이 '0'인지는 불확실하다고 전했다. 그러나 LK-99의 구현이 이론적으로 불
가능
하다는 연구 결과도 나오고 있다. 1일 중국 베이항대 연구진은 논문 사이트 '아카이브'에 LK-99의 전기 저항이 0이 아니었으며 자기장이 사라지지도 않았다고 발표했다. 인도 뉴델리 국립물리연구소(CSIR)도 1일 ... ...
"유방 X선 영상 AI 판독, 유방암 진단율 20%↑"
연합뉴스
l
2023.08.03
담당 부회장은 미국에서는 식품의약청(FDA)의 승인을 받은 AI 지원 유방 X선 촬영술이 사용
가능
하지만 이를 어떤 방식으로 사용하느냐가 문제라고 말했다. 이를 임상에 사용하기 위해 어떤 시스템을 만들어 어떤 방식으로 이용하느냐가 앞으로 해결해야 할 숙제라고 그는 지적했다. 이 연구 ... ...
[과기원NOW] UNIST, 고효율 태양광 수소 생산 위한 실리콘 광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03
배 높였다. 산화 반응에서는 생물유기체인 바이오매스를 활용해 고부가 화합물의 생산이
가능
함을 확인했다. 실리콘 광촉매는 원형의 98%를 유지하며 높은 안정성도 확보했다. 이는 향후 친환경 수소 생산 상용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 ... ...
투명 피부부터 초록 피부까지…'카멜레온' 같은 인공 피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03
또 전력이나 전기신호를 받아 스스로 늘어나거나 줄어들기도 한다. 이처럼 전기 조절이
가능
한 다중색 변화 전자 피부 기술은 처음 개발됐다. 연구팀은 눈에 보이는 피부색을 변화시키는 데에서 한 발 나아가 가시광선 외의 빛의 파장을 제어해 인공 전자 피부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데도 ... ...
이전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