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Ⅲ 의료·유전공학·에너지 분야서 2천년대 국가 경쟁력 좌우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국가에 있어서 에너지 자원의 안정적 확보는 국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문제다.21
세기
에 인류가 해결해야 할 또 하나의 문제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유지하면서도 지구환경을 보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실질적인 환경 보전 방안은 우루과이 ... ...
인간은 수명 결정하는 유전자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약 1천만달러가 소요될 이 연구는 므두셀라(Methuselah)프로젝트로 명명되었다. 구약성서 창
세기
에 나오는 므두셀라는 가장 장수한 인물로서 9백 69년을 생존했다. 불로초를 찾던 진시황이 살아 있다면 선뜻 연구비를 대줄지도 모르겠다.로즈의 발견과 유사한 연구성과가 미국의 토마스 존슨으로부터 ... ...
3. '지구의 허파' 열대우림 파괴는 어떤 핵전쟁보다 끔찍한 일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그렌빌의 '녹색 선택'에서)요즘 서유럽 지식인계에서 '녹색사상'이 화제가 되고 있다. 20
세기
말 지구를 둘러싼 '성장의 한계'를 인정하며 지구가 나아갈 길을 모색하는 이 사상은 녹색당이나 환경보호 운동 등을 통해 정치·사회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영국의 환경정치학자 앤드루 ... ...
PARTⅠ'20
세기
의 판도라 상자' 핵에너지, 어떻게 탄생됐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원자핵 연쇄반응의 아이디어를 얻었다는데 있다.이제부터 본격적으로 물리학자들이 '20
세기
의 판도라 상자'를 여는 과정을 살펴보자. 1938년 독일의 화학자 오토 한은 그의 제자인 스트라스만과 함께 '우라늄 핵분열'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으로 우라늄을 중성자로 때릴 때 우라늄이 분열해 ... ...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별의 개수는 다시 무한히 많아졌다. 그래서 올버스의 역설은 20
세기
에 와서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고, 풀리지 않는 난제로 많은 사람들의 궁금증을 자아내게 했다. 물론 지금은 풀린 문제다. 5월호에서 계속 얘기해 보도록 하자. 천문소식■ 94별축제천문대와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혼돈의 발견은 아마도 빙산의 일각에 불과할 지 모른다. 그러나 컴퓨터 기술에 힘입어 20
세기
과학이 거둔 실로 위대한 승리임에는 틀림없다.혼돈의 발견으로 혼돈과학이 등장했다. 혼돈과학이 시작되는 곳에서 고전물리학은 종지부를 찍는다. 미국의 물리학자인 조셉 포드는 혼돈과학을 20
세기
... ...
나쁜것, 좋은것, 혹은 양쪽 모두?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녹색의 잎을 달고 있고 역시 적보랏빛 꽃이 핀다.(시막이 옳았던 것일까?) 칡은 19
세기
에 일본 주재 미국 영사였던 토마스 호그가 미국으로 가지고 왔다. 1876년 필라델이피아 1백주년 기념행사에서 이 식물이 처음 소개되었고 플로리다주의 농부였던 플리스에 의해 널리 퍼졌다.가축들은 칡을 ... ...
지구과학- 흑점수는 11.2년 주기로 증감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의 과월호 또는 선생님 등의 도움을 받아 흑점을 관측해 보자. 20
세기
에 사는 사람들이 17
세기
에 이미 관측한 흑점을 아직도 못 보았대서야 말이 되겠는가 ... ...
1. 세계가 자랑하는 대형로켓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일본은, 당장은 상업용위성 발사 시장에서 크게 영향력을 행사할 것 같지는 않지만 21
세기
에 접어들면 기존 판도를 휘저어놓을 수 있을 정도로 성장할 것이라는 것이 중론이다.비용절감이 최우선- 재사용되는 첨단로켓1회밖에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로켓의 단점이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재사용로켓 ... ...
안개에서 물뽑아 생활용수로 이용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안개(방사냉각에 의한다)의 수분을 부착시켜 주위의 홈통으로 받아서 이용하는 일이 몇
세기
전부터 이루어져 왔다. 또 페루의 케추어족은 수천년 전부터 수목의 사이에 끼는 안개의 물방울을 채집, 음료수로 이용해왔다. 환경오염 걱정 없는 신기술1992년 5월 15일, 표고 8백m의 엘 토포산 산정부근 ... ...
이전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