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기한
음량
척도
표준
기준
깊이
스페셜
"
길이
"(으)로 총 58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무로 지은 아파트에서 사는 시대 올까?
2017.05.30
고층 건물을 지을 수 있게 됐다. 보통 널빤지를 홀수 개 붙이는데 바깥쪽 판의 나뭇결을
길이
방향으로 맞추기 위해서다. - 위키피디아 제공 한편 화재의 경우도 나무가 철이나 콘크리트보다 오히려 안전하다고 한다. 즉 불이 어느 수준을 넘으면 철이 녹고 콘크리트가 깨지지만 나무는 타는데 일정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비율이 낮았고 남녀차이도 없었다. 한편 키를 반영하는 넙다리뼈(대퇴골)와 정강뼈(경골)
길이
의 변화에서도 남녀차이가 드러났다. 남성의 경우 양사오문화와 동주시대에 별 차이가 없었지만 여성의 경우는 동주시대에서 확연히 짧아졌다. 즉 동주시대에는 영양부실로 여성의 키가 작아지면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얼굴의 특징과 관련된 자리를 규명한 논문이 대표적인 예다. 연구자들은 얼굴에서 20가지
길이
를 측정해 SNP와의 관련성을 조사했는데 5가지에서 관련된 자리를 찾았다. 먼저 두개골 폭과 관련된 자리가 두 곳(14번 염색체와 20번 염색체)이고 양안 간격(두 눈 사이 거리)과 관련된 자리가 두 곳(1번 ... ...
[표지로 읽는 과학] 규모 7.8 지진으로 뉴질랜드 南-北섬 5m 가까워져
동아사이언스
l
2017.04.16
보다 폭넓은 관점을 가져야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지진의 규모는 파열된 단층의
길이
와 관련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여러 단층이 동시에 흔들리면 지진의 피해는 현재 예측보다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여러 단층이 동시에 관여해 지진이 일어나는 시간이 길어지면 장시간 진동에 취약한 긴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가 모기를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4.09
가로세로비(AR)를 측정해 정리한 결과. 비교한 곤충의 크기가 모두 다르므로, 날개의
길이
를 같은 값으로 맞춰 다른 정보를 계산했다. 모기는 날개의 움직임 각도와 레이놀즈 수가 가장 작고, 날개의 가로세로비의 값이 가장 컸다. - nature 제공 모기는 초파리, 꿀벌, 박각시나방과 같은 조건으로 ... ...
[사이언스 지식IN] 봄꽃 앞다퉈 피는데… 우리 집 화분은 왜 아직 겨울잠?
동아사이언스
l
2017.04.07
햇빛에 민감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루 동안 태양빛을 받는 시간을 스스로 파악해, 낮
길이
가 점점 길어질 때 개화 유전자가 발현되고 꽃봉우리가 맺힙니다. 지난해 성장 상태에 따라 꽃을 피울지 말지 결정하기도 합니다. 집에서는 아무래도 화원만큼 햇빛이나 온도를 잘 관리하기 어렵죠. Q. 꽃을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안했고 이 물질을 '플로리겐'이라 이름 붙였다. 식물은 낮의
길이
와 온도의 영향을 받아 꽃을 피운다. 개화 호르몬으로 가장 유명한 것은 플로리겐인데, 그 실체를 알아내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 shutterstock 제공 그러나 플로리겐이 대체 무엇인지 알아내는 일은 쉽지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쉬창 1 두개골은 정수리가 낮고 옆으로 퍼졌다. 그 결과 좌우 폭이 가장 넓은 지점의
길이
는 지금까지 측정한 인류의 두개골 가운데 가장 길다. 또 다른 두개골인 ‘쉬창 2’는 뼈가 부족해 뇌용량을 계산할 수 없는 상태이지만 적어도 네안데르탈인 수준은 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이렇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세 개가 서로 꼬여있는 ‘삼중나선’ 구조다. 따라서 지름이 1.5㎚(나노미터)에 불과하고
길이
도 300㎜ 정도다. 이런 콜라겐 단위체들이 서로 엮여 지름 20~100㎜ 크기의 콜라겐원섬유(collagen fibril)를 만든다. 그리고 콜라겐 원섬유가 뭉쳐 지름이 수십~수백㎛인 콜라겐섬유(collagen fiber)가 된다. 이런 ... ...
[사이언스 지식in] 치매 왜 생기는 걸까? ... 흔들리는 알츠하이머 원인의 정설
동아사이언스
l
2017.02.20
덩어리입니다. 길쭉길쭉한 가닥처럼 보이죠. 보통 가닥 하나의 너비가 5~15㎚(나노미터),
길이
는 수 마이크로미터 정도입니다. 본래는 우리 몸 안에서 정상적인 역할을 하던 단백질이 세포 주변에서 덩어리를 이루며 아밀로이드를 이룬 것이지요. 주를 이루는 단백질 종류와 뭉친 모양은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