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분
계급
자리
처지
위치
장소
경우
뉴스
"
지위
"(으)로 총 476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분명히 동물복지도 꽤 나아졌는데(요즘은 개도 애완동물에서 반려동물로
지위
가 격상됐다!) 왜 물고기의 처지는 그대로일까. 필자는 이 문제를 곰곰이 생각해봤는데 두 가지 이유가 떠올랐다. 먼저 어류는 포유류나 조류에 비해 피가 그렇게 많지 않다. 따라서 죽이는 장면에서도 유혈이 ... ...
세상을 바꾸는 힘 ‘엔지니어링’
동아사이언스
l
2014.04.28
신분적 이분법이 우리 사회에 아직 남아 있기 때문에 '과학의 어머니'격인 엔지니어링의
지위
가 과학의 하위개념으로 격하되었다고 설명한다. “인류는 이론에 집중하는 과학보다 직접 행동하는 엔지니어링으로 발전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이야기하는 . ... ...
줄기세포계는 춘추전국시대
과학동아
l
2014.04.18
1991~2012년 전 세계에서 발표된 줄기세포 논문 중 82%를 차지하며 줄기세포계에서 절대적인
지위
에 올라있다. 성체줄기세포는 탯줄혈액(제대혈)이나 성인의 골수와 혈액 등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윤리적인 문제가 없고, 필요로 하는 장기로 쉽게 분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연구가 가장 ... ...
본격화되는 ‘생물자원전쟁’ 韓 참전 시기는?
과학동아
l
2014.03.28
정부는 2020년까지 생물자원 2만 종을 추가로 발굴하고 전문 학술지에 발표해 원산지국
지위
를 지키려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3월에는 국가생물자원 종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분야별로 흩어져 있던 국내 생물자원 정보를 모으고 국제 기준에 맞춰 표준화하고 있다. 또 2017년까지 세계 1 ... ...
또 다시 고개 든 '가속기 음모론'
과학동아
l
2014.02.28
’의 앞날이 불투명해졌다. ‘릭’은 2000년 가동을 시작한 뒤 줄곧 세계 최대 가속기
지위
를 유지하다가 2010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가 등장하면서 2위로 밀려났지만, 오바마 행정부의 거대과학 예산 삭감 바람에도 살아남으면서 현재 미국이 운영하는 유일한 ... ...
[시론/김우주]‘AI, 사람감염’ 청정국 평가받는 한국
동아일보
l
2014.02.17
충분한 예방조치를 하고 있다. 우리는 세계적으로 AI 유행을 매번 종식시킨 ‘청정국’의
지위
에 올라 있다. 이미 AI가 풍토병으로 자리 잡은 동남아 국가들과 비교할 바가 아닌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유행 중인 AI의 원인바이러스인 H5N8이 중국 오리에게서 발견된 적은 있지만 인체 감염 사례가 ... ...
철새가 바이러스 옮겼다면 동시다발 발병 우려
동아일보
l
2014.01.20
몰려 있는 호남에서 발생해 큰 피해가 예상된다. 한국은 2011년 회복했던 AI 청정지역의
지위
를 상실해 향후 가금류 수출길이 막힐 우려도 있다. 한편 가축전염병의 전국적 확산을 막기 위한 ‘일시적 이동중지 명령’은 2012년 관련 법조항이 신설된 뒤 이번에 처음으로 시행됐다. 환경부도 이동중지 ... ...
[이공계 홀대하는 한국]“벤츠 타고온 의사동창… 이공계는 지하철…”
동아일보
l
2014.01.08
이유를 들어보면 이공계의 현주소를 알 수 있다. 이들은 일에 비해 수입이 적고 사회적
지위
와 직업 안정성이 낮아 힘들다고 호소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고등학교 때부터 이과를 선택하는 비율이 줄어들고 과학계 우수 인재로 키워야 할 수학·과학올림피아드 수상자들도 40% 이상이 의대로 간다. ... ...
[프리미엄 리포트]트라우마엔 가족-친구 도움 절실
동아일보
l
2014.01.06
채 교수는 소방관 경찰 군인의
지위
를 높이자는 제안도 했다. 그는 “이들의 사회적
지위
를 높이면 자존감이 올라 트라우마를 이겨낼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 MIU 20명 인터뷰 전문 ▽팀장 하종대 부국장 ▽사회부 김상수 차장, 이성호 ... ...
태양계 벗어나 외계인과 조우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29
떨어진 행성인 해왕성 궤도까지를 이르는 태양계보다 4배 더 넓다(명왕성은 2006년 행성의
지위
를 잃고 소행성이 됐다). 1977년 발사 후 36년간 태양권 밖을 향해 날아간 보이저 1호는 현재 지구에서 190억km 이상 떨어져 있다. 태양과 지구 사이 거리보다 127배 이상 먼 거리다. 태양계 행성 탐사가 주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