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천
변고
이변
변전
변형
이상
뉴스
"
변이
"(으)로 총 2,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로 잃은 후각 찾기 프로젝트 시동 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냄새 분자를 제거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
변이
가 발견된 것이다. 이같은 유전
변이
가 나타난 사람들은 코로나19에 감염되면 후각이나 미각을 상실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후각을 상실한 코로나19 환자의 뇌에 지속적인 변화 발생한다는 분석 결과도 있다. 지난 3월 영국 ... ...
코로나 신규확진 3828명 1월 11일 이후 최저…위중증 이틀째 100명 아래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에 감염된 사람이 하루만에 3828명 늘었다. 전날 7382명보다 3554명 줄어든 수치로 오미크론
변이
가 확산하던 1월 11일 3094명 이후 가장 적다. 주말 기간 검사 건수가 줄어든 영향과 함께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3일 0시까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828명 ... ...
OLED 최적 소재 찾고 질병 유전
변이
도 분석하는 슈퍼컴퓨터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변이
를 GWSA로 계산해 도출한 결과다. 권오경 KISTI 책임연구원은 “유의미한 유전자
변이
발견은 농축산 분야와 첨단 바이오의료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슈퍼컴퓨터의 분석으로 데이터 오류 보정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 1초에 100경회 연산 ... ...
정부, 확진자 격리의무 해제 17일 결정...재확산·오미크론 하위
변이
가 변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6.12
코로나19
변이
의 위협도 존재한다. 영국과 독일 등에서 감염력이 높은 오미크론 하위
변이
인 BA.4와 BA.5 재유행 경고가 나오는 가운데 이날 국내 해외유입 확진자는 78명을 기록했다. 지난 3월 11일 106명 이후 세달여 만에 최대치다. 지난 8일 코로나19 백신 접종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해외입국자에 대한 ... ...
영국, 독일서 오미크론 하위
변이
재확산 경고..."수주 내 우세종"
동아사이언스
l
2022.06.12
BA.4와 BA.5는 이미 전 세계에 급속히 퍼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달 이 두
변이
가 50개국에서 발견됐다고 집계했다. 국내에서는 지난달 31일 기준 BA.4와 BA.5를 합쳐서 14건의 유입이 확인됐다. ... ...
7월 도입되는 코로나 예방용 항체치료제 '이부실드'는 어떤 약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카시리비맙·임데비맙 복합제, 소트로비맙 등 세 종류의 항체치료제도 모두 오미크론
변이
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지며 사용이 제한됐다. 치료제로서의 이부실드 효과는 최근 발표된 임상시험 결과에서 밝혀졌다. 이부실드를 생산하는 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 8일 임상 3상 시험결과를 ... ...
미국·영국서 원숭이두창 확산 억제 위해 천연두 백신 접종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대한 우려는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변이
를 입증하는 유전체 데이터를 보고하면서 더욱 커지고 있다. 이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가 예상보다 오랜 기간 전세계에 확산됐을 수도 있으며 확산 원인에 대한 조사를 어렵게 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 ...
모더나 새 백신 오미크론에 효과 확인…"부스터샷 1년 한 번" 기대감 '솔솔'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7일 기준 BA.2.3이 60.9%, BA.2가 33.7% 점유하고 있다. 이에 버튼 CMO는 “최근 출현한 오미크론
변이
에 대해서는 면역 효과가 약간 감소하겠지만 충분히 효과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모더나는 몇 주 안으로 영국의 의약품 규제 관련 기관에 승인을 신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재유행이 예상되는 ... ...
미 연구진,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에 맞서는 항체 30종 추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연구팀은 30개 항체의 공통점을 알아내기 위해 면역유전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양한
변이
를 인식하는 데 필수적인 아미노산 서열 패턴이 발견됐다. 또 30개 항체는 대부분은 스파이크 단백질의 결합 부위를 인식했다. 이 결합 부위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진화해도 변하지 않는 부분이다. 30개 ... ...
FDA 자문기구, 노바백스 긴급사용 승인 권고...부작용·접종률 증진 효과 논란 남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백신의 임상시험 결과를 분석한 FDA의 보고서가 공개되며 논란이 일었다. 오미크론
변이
출현 이전 약 4만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시험에서 백신 접종자 중 심근염 사례가 5건 발생했다. 이 중 4건은 백신 20일 이내에 발생했다. 화이자와 모더나의 mRNA 백신 임상시험에서는 심근염 사례가 보고되지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