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뉴스
"
멸종
"(으)로 총 862건 검색되었습니다.
[애니멀리포트] 상어 가족은 엄마가 힘이 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3.23
처합니다. 한국에도 47종의 상어가 살고 있으며, 그중 12종이 IUCN 지정 '
멸종
위기종'과 '
멸종
취약종'이다. 부경대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은 2017년 이같은 내용을 담은 포스터 '우리바다,우리상어'를 만들었다. 도움 김진구(부경대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기관장), 이우준 ... ...
캥거루는 언제부터 껑충껑충 뛰게 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3.08
만들어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캥거루의 먼 친척에 해당하는 종은 약 1억5000만 년 전
멸종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화석은 200만 년 전 것으로, 유대류의 진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로 유대류의 독특한 뜀뛰기 능력의 기원은 약 2000만 년 전으로 ... ...
‘미지의 친척인류’ 데니소바인 두개골 파편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특징 등은 총회 때 공개할 방침이다. 데니소바인은 2010년 처음으로 존재가 확인된
멸종
한 친척인류로, 화석이 매우 드물어서 지금까지 5개체에서 총 5개 화석만이 발견돼 있다. 모두 알타이산맥 부근의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 동굴 ‘데니소바’에서 나왔으며, 여러 연대 추정 및 게놈 해독 연구 결과 ... ...
한 세기 민족과 운명 함께 한 한반도 고유종 미선나무
동아사이언스
l
2019.03.02
377종을 평가했는데 212종이 위험범주에 속해 있다. IUCN은 미선나무를 적색목록
멸종
위기종(EN)으로 분류했다. IUCN 적색목록 홈페이지 캡처 미선나무를 비롯한 한국 특산식물에 대한 연구는 걸음마 단계다. 김주환 가천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미선나무를 유전학적으로 연구한 연구결과를 ... ...
[이강운의 곤충記]아가미 있는 곤충의 겨울나기
2019.02.20
어떠한 상황에 놓여있는지를 알 수 있다는 뜻이므로, 수서곤충이 급격히 줄어들고
멸종
되어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가볍게 들리지 않는 이유다. 띠무늬우묵날도래 애벌레 기관 아가미(SEM) 살충제와 오염 물질로 생성된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산성비의 형태로 지표로 내려와 광범위한 지역의 ... ...
[애니멀리포트] 동물 축제, 이대로 괜찮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2.17
긴팔원숭이’를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생명다양성재단 사무국장으로
멸종
위기종을 연구하고 있다. 김 사무국장은 지난해 6월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 한 인터뷰에서 “동물의 이름을 내걸고 있는 대부분의 축제가 동물들한테 고통을 가하는 시간으로 가고 있다"며 “축제의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마다가스카르 여우원숭이가 인간에게 준 숙제
2019.01.27
있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여우원숭이가
멸종
되면 그 다음에 기다리고 있는 것은 인간의
멸종
입니다. 여우원숭이의 유일한 보금자리인 마다가스카르에서 이들이 사라진다면, 인간의 유일한 보금자리인 지구에서 인간이 사라져도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여우원숭이가 살아갈 수 없는 환경이라면 ... ...
[다보스포럼] "44년간 척추동물 60%가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3
파괴를 위한 우리의 행동이 너무 광범위해 우리는 우리가 인지하지도 못한 채 생태계를
멸종
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2019 WEF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저출산의 미스터리
2019.01.20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면 그런 본능은 없습니다. 호모 사피엔스의
멸종
을 막기 위해서 자진해서 아기를 낳겠다는 사람은 없습니다. 물론 한민족의 미래를 위해서 이른 출산을 계획하는 사람도 ‘제가 알기로는’ 없습니다. 과거 나치 등 일부 전체주의 국가에서 민족의 이익을 위해 ... ...
[애니멀리포트] 반려동물 버리면 야생동물도 위험에 빠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1.19
이루는 산과 섬으로 떠나지 않도록 책임지고 돌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호주에서
멸종
된 불독쥐. P.J.Smit(W) ‘들개’ 재교육하는 백사마을 서울시는 정기적으로 산속 유기견을 포획해 유기동물보호소로 보냅니다. 대부분 입양에 실패해 안락사를 당합니다. 2016년 서울시가 포획한 115마리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