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뉴스
"
망원경
"(으)로 총 1,134건 검색되었습니다.
'용암의 강' 흐르는 슈퍼지구로 암석형 행성 대기 분석 길 연다
연합뉴스
l
2021.03.05
가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해 줄 것으로 제시했다. 연구팀은 칼라르 알토 천문대의 3.5m
망원경
에 장착된 분광기를 이용해 적색왜성 주변의 지구형 행성을 찾는 '카르메네스(CARMENES) 프로젝트'에 참여해 왔으며, 외계행성을 찾아내는 두 가지 주요 방식을 모두 활용해 글리제 486 b의 존재를 확인했다. ... ...
[과학게시판]과천과학관 전파
망원경
프로그램 운영 개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2.26
전파로 보는 태양 프로그램 참가자에게 전파천문학과 전파
망원경
에 대해 소개하고 전파
망원경
으로 태양을 관측한 후 관측 자료를 설명할 예정이다. 관측한 전파신호를 음향으로 바꿔 태양의 소리도 들려준다. 전파로 보는 태양 프로그램은 하루 운영 기간 중 공휴일과 주말에 하루 3회 ... ...
호킹 박사 내기에서 지게 만든 블랙홀, 더 무겁고 더 멀리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9
230기가헤르츠(GHz) 고주파를 관측할 수 있어 처녀자리 M87을 촬영한 ‘사건지평선
망원경
(EHT)’의 차기 프로젝트인 동영상 관측에 활용될 전망이다. 정 선임연구원은 “KVN으로 백조자리의 다른 블랙홀인 X-3도 관측하는 등 블랙홀 연구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성당의 스팬드럴과 진화론
2021.02.18
장소는 산마르코 광장이다. 광장에 우뚝 솟은 종탑은 갈릴레오가 400년 전에 처음으로
망원경
을 만들어 들고 올라간 곳이다. 종탑 맞은편에는 산마르코 대성당이 있다. 832년 첫 헌당식이 있었고 976년 화재로 불탄 뒤 현재의 모습으로 재건하기 시작한 것은 1063년이었다. 산마르코 대성당이 종교나 ... ...
태양에서 132AU 떨어진 ‘파파아웃’, 태양계 가장 먼 천체 등록
동아사이언스
l
2021.02.15
태양계의 끝자락에 있는 천체의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며 “
망원경
관측 기술이 발달하면서 태양계 가장자리를 점점 더 멀리 관측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
UAE 화성 ‘인증샷’에 中 ‘인증 동영상’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15
미국과 유럽의 화성 궤도선이 보내온 근접 촬영 사진과는 다르다. 오히려 지구에서
망원경
으로 촬영한 사진과 더 비슷하다. 이는 아말의 독특한 공전 궤도 때문이다. 아말은 가장 가까울 때는 화성 상공 1000km까지 접근했다가 멀어질 때는 최대 5만km까지 떨어지면서 화성 주변을 넓은 타원 궤도로 ... ...
3월 차세대중형위성 1호·10월 '누리호' 첫 발사…올 우주개발계획에 총 6150억원
동아사이언스
l
2021.02.08
소행성이 한반도에 추락하는 것을 감시하기 위해 지구 남반구에 1.5m급 광시야 광학
망원경
설치를 추진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한국은 경북 영천 보현산과 미국, 몽골, 모로코, 이스라엘에 광학우주감시장비 ‘OWL-Net’를 설치해 운용하고 있다. 우주감시 정보를 수집해 활용하기 위한 ... ...
지구에서 가까운 ‘트라피스트-1’ 지구형 행성 7개 “밀도 놀랍도록 비슷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1.27
제임스웹우주
망원경
도 트라피스트-1 주변 7개 행성을 관측한다. 연구진은 제임스웹우주
망원경
이 7개 행성을 관측해 행성에 대기층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연구에 참여한 캐롤라인 돈 스위스 취리히대 컴퓨터과학연구소 박사는 26일(현지 시간) CNN에 “인류가 우주에 가득 찬 ... ...
차세대 한국형발사체 목표 2029년 소행성 탐사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아포피스 소행성처럼 세계적 관심을 가진 소행성 탐사 위성 발사 외에도 우주관측
망원경
기술을 2m급으로 확장하는 기술 개발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오른쪽)이 이달 25일 열린 '과학기술미래포럼'에 참여해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장으로부터 ... ...
[표지로 읽는 과학] 역사 속으로 사라진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
’
동아사이언스
l
2021.01.17
수상에도 공헌했다.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인 조지프 테일러와 러셀 헐스는 아레시보
망원경
으로 강한 자기장을 갖고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중성자별인 쌍성 펄서를 발견했다. 이 발견을 토대로 쌍성의 공전 주기가 감소하고 있으며 이 감소율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예측과 매우 잘 일치한다는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