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내부에너지
"(으)로 총 986건 검색되었습니다.
"2017년 포항 지진 이후 한반도 지진 줄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6
포항 지진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한 건물을 건축전문가들이 조사중이다. 연합뉴스 제공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2016년 이후 점차 줄어들고 있다. 국내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2016년 252회에서 2017년 223회, 2018년 115회, 2019년 88회, 지난해 68회로 나타났다. 2016년 경주 지진 ... ...
핵융합 1억도 유지 가로막는 플라스마 붕괴조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4
초고온 플라스마에서 발생하는 난류와 플라스마를 가둔 자기력선을 붕괴시키는 자기섬 사이의 상호 작용이 실험으로 처음 확인됐다. 분홍색 점선이 자기섬이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한국형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한국형초전도핵융합장치(KSTAR)를 이용해 핵융합 플라스마의 오랜 난제 ... ...
500번 충·방전해도 높은 에너지 밀도 유지하는 양극 소재 합성법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3
강병우 포스텍 신소재공학부 연구팀(사진)이 충전과 방전을 500번 반복해도 에너지 밀도가 높게 유지되는 양극 소재를 개발했다고 22일 발표했다.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팀이 최소 500차례 이상 충·방전해도 에너지 밀도가 높게 유지되는 값싼 양극 소재를 개발했다. 리튬 전지로 장거리를 운행할 ... ...
[표지로 읽는 과학] 미토콘드리아는 어떻게 세포의 에너지 공장이 됐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2.21
사이언스 제공. 미토콘드리아 리보솜, 또는 미토리보솜은 미토콘드리아 내부 막에 연결돼 미토콘드리아 유전체가 암호화한 합성 단백질(노란색)의 삽입을 촉진한다. 출구 터널(청록색)에서 볼 수 있는 제어 메커니즘은 미토콘드리아 내부 막 삽입 효소 ‘OXA1L(연갈색)’에 단백질 전달을 가능케 한 ... ...
호킹 박사 내기에서 지게 만든 블랙홀, 더 무겁고 더 멀리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9
백조자리 X-1 블랙홀의 상상도다. X-1은 태양과 수성 간 거리의 절반 정도로 가까운 짝별인 청색 초거성에서 나오는 물질을 흡수하며 X선을 방출한다. 국제전파천문연구센터 제공 백조자리 X-1 블랙홀은 인류가 처음 발견한 블랙홀이다. 1964년 강한 X선을 뿜는 천체가 백조자리에서 확인된 이후 블랙홀 ... ...
삼성전자, 세계 최초 지능형 메모리 반도체 개발 성공
연합뉴스
l
2021.02.17
인공지능 HBM-PIM 제품화…메모리 반도체에 AI 연산 기능 탑재 기존 제품 대비 성능 2배 향상…ISSCC에서 논문 공개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기존 메모리 반도체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지능형 메모리 반도체 기술을 개발했다. 데이터 저장 공간으로만 여겼던 메모리 반도체에 인공지능(AI) 엔진을 탑 ... ...
[소재의 미래_마지막 이야기]"소재 혁명은 학문의 경계서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박성흠 부경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해외 수입에 의존하던 CMOS 이미지 센서용 근적외선 차단 필터를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했을 뿐 아니라 성능을 더 향상시켰다. 남윤중 제공 길을 걷다가 눈앞에 멋진 풍경이 펼쳐지면 저절로 스마트폰이나 카메라를 들어 올린다. 하지만 사진에 담긴 풍경은 눈으로 ... ...
‘매운맛’으로 태양전지 효율 높인다
과학동아
l
2021.02.05
태양전지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로, 현재 에너지 변환 효율을 높이는 것이 핵심 과제다. 최근 페로브스카이트 등 신소재로 효율을 높이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중국 화둥사범대와 스웨덴 린셰핑대 등 공동연구팀은 매운맛을 내는 성분인 캡사이신으로 페로브스카이트의 효 ... ...
[사이언스N사피엔스] DNA 이중나선 발견에 가려진 ‘암흑여사(dark lady)’ 프랭클린
2021.01.21
이중나선 구조 발견에 결정적 힌트가 된 ‘51번 사진’. 1952년 로절린드 프랭클린이 킹스 칼리지 런던에 있는 존 랜달의 연구소에서 근무할 무렵 촬영한 X선 회절 사진이다. 위키피디아 제공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낸 이야기는 20세기 과학의 전설 내지 신화로 남 ... ...
[한 토막 과학상식] 6G 구현할 기술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21.01.16
‘5세대(5G) 이동통신도 제대로 안 되잖아?’ 최근 6세대(6G) 이동통신이 자주 언급되면서 이처럼 의아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렇다면 잠시 영화 ‘아이언 맨’의 주인공 토니 스타크를 떠올려 보자. 한쪽 눈에 웨어러블 기기를 쓴 토니는 3차원 홀로그래픽 영상으로 이뤄진 증강현실 속에서 손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