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으)로 총 1,74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수학동아 l2016년 06호
- NASA)의 학자들은 아직까지 확실히 관측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을 아끼고 있다. 플래닛 나인이 정말 아홉 번째 행성이 맞을지, 또 그보다 먼 곳에 열 번째 행성이 있을지 궁금해진다. 5년 뒤를 기다려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Part 1. 영원한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사회적 행동의 탄생에 주목한 윌리엄 해밀턴은 독학 끝에 드디어 이타성의 뿌리를 밝힐 논문을 완성한다. 이 논문은 다윈 이후 가장 혁신적인 내용을 담고 ... 기존 학자들의 연구를 알기 쉽게 포장한 과학 대중서에 불과하다는 폄하를 국내에서도 종종 접하는 것은 그래서 안타까운 일이다 ... ...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할 장벽 5[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 ... ...
- [Knowledge] 과학인가 사기인가 과학 데이터와 통계 논란(下)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과학 분야에 ‘재현성 논쟁’이 뜨겁다. 과학 전반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로 결코 쉽게 볼 일이 아니다.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최근 특히 통계 기법의 허점을 악용 ... 절호의 기회이기도 하다. 과학의 건전성을 스스로 증명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오늘도 노력하고 있다 ... ...
- 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것인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있지 않다는 상황은 인지하고 있다”며 “해결책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지만 대책을 준비하고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1“아뇨, 그건 급진적인 채식주의자들이랑 별 다를 바가 없어 보이는데요.”차라리 급진적인 채식주의자가 되었다면 훨씬 나았을 거라고 생각하며 말했다. ... 낮과 밤 사이에서 흐르기를 멈춘 것만 같고, 나무들은 저마다의 깊은 꿈속에서 영원을 노래하는 듯하다.K박사의 이상한 숲에서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은하는 ‘은빛 강’이라는 뜻의 단어예요. 수많은 별이 모여 마치 밤하늘에 흐르는 강처럼 보인다고 하여 은하수(銀河水)라고도 부르지요. ‘용(미르)이 하늘로 올 ... 그래서 ‘년(年)’은 원래 ‘수확’을 뜻하는 단어였으나, 나중에 벼가 자라는 기간인 ‘한 해’를 뜻하게 ...
- [INFO] 새 책_배경으로 숨어버린 것들에 대한 애정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뇌로 산다’는 좀 더 노골적이다. 근거 없는 상식과 비논리로 가득 찬 세상을 하나하나 물고 뜯고 씹는다. 기자도 뜨끔할 정도. 취향에 따라 골라 읽어보자. 세계를 바라보는 새로운 눈으로써의 과학을 만나게 될 것이다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후보 중 하나인 고리양자중력을 연구하는 미국의 물리학자 리 스몰린은 “시간은 실재하며, 미래를 만들어낸다”고 주장한다. 그는 시간이 현실의 능동적인 요소이며, 물리학의 법칙 자체가 시간에 따라 바뀔 거라고 제안했다. 과연 시간을 만들어내는, 그리고 우주를 만들어내는 가장 본질적인 ... ...
- 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다양한 분야에 쓰이고 있다.나용수_ysna@snu.ac.kr서울대 원자핵공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뮌헨공대에서 플라스마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 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국가핵융합연구소를 거 쳐 현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토 카막 핵융합로 노심 플라스마의 운전과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