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편의
편이
용
편익
이편
용이
유리
d라이브러리
"
편리
"(으)로 총 1,513건 검색되었습니다.
위기에 처한 남태평양을 구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많이 드는 전통가옥은 양철지붕과 시멘트 블록으로 만든 집으로, 느린 전통배는 빠르고
편리
한 모터보트로 바뀌었다.새로운 문명이 들어오면 생활의 질이 높아질 것 같지만 되레 나빠진 측면이 많다. 사방이 트여 시원한 전통집과 달리 양철과 시멘트 블록으로 만든 서구식 집은 태양빛에 빨리 ...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바벨피쉬를 귀 속에 집어넣은 뒤 외계인과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게 된다. 얼마나
편리
한가. 외국어 공부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보면 귀가 솔깃할 것이다. 그런데 현실에도 바벨피쉬가 있다. 바로 자동번역기술이다.[야후의 자동번역으로 ‘과학동아는 국내 최고의 과학잡지다’ 를 영어로 번역해 ... ...
[Math Tour] 피사의 사탑 기울기를 재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쓰는 숫자를 알게 됐다. 아라비아인의 숫자는 바로 계산할 수 있어 로마 숫자보다 훨씬
편리
했다. 피보나치는 아랍의 수학을 배우기 위해 지중해 지역의 국가를 여행했고, 그 뒤 피사로 돌아와 1202년에 ‘산술교본’이란 책을 썼다. 이 책은 아라비아 숫자가 유럽에 널리 퍼지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유연화’ 자체에 관심을 갖게 됐다. 송전량을 조절하는 FACTS와 조절이 쉽고 이동에
편리
한 HDVC의 장점을 결합하면 어떨까. 바로 스마트 그리드의 특징이었다.문 교수는 현재 마을 규모로 실증실험을 하고 있는 제주도를 세계 최초의 스마트 그리드 섬으로 만들 계획를 세우고 있다. 고립된 섬이면서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사실이 퍼져 위험성이 과장된 면도 있지만, 정확히 알고 잘 이용하면 공진은 생활을
편리
하게 만들 수 있다. 어설프게 두려워하기보다는 이 기회에 정확히 알아두는 게 어떨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나 떨고 있니? 진동과 공진의 힘PART 1. 공진은 무서워?PART 2. 진동은 피곤해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착안해 지난 15년간 의복 디자인의 공공성에 대한 연구를 해왔다. 2008년에는
편리
하고 정서적인 만족감을 주는 환자복을 디자인해 과학기술총연합회에서 주는 우수논문상을 받기도 했다.그 뒤 산업단지에서 생기는 재해를 막기 위해 작업복을 개선하는 연구에 착수했다. 박 교수는 먼저 경남지역에 ... ...
최종병기 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그 덕분에 활의 길이를 비교적 짧게 만들 수 있다. 긴 활에 비해 짧은 활이 갖고 다니기도
편리
하고 화살을 새로 재는 속도도 빠르다는 점을 감안하면 단궁의 장점은 더 뚜렷하게 드러난다.남이가 영화의 후반부에서 사용하는 애깃살, 즉 편전은 조선에 특유했던 비장의 기술이다. 편전은 화살 길이의 ... ...
숫자 마술 부리는 신기한 수9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딱 1만큼 작은 수라는 것이다. 이 특징은 어떤 자연수가 9의 배수인지를 알아낼 때 아주
편리
하게 쓰인다.예를 들어 74385라는 숫자가 9의 배수인지 알아볼 때, 74385를 직접 9로 나누는 것보다 74385의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 값인 27(=7+4+3+8+5)을 9로 나눠 확인할 수 있다. 27은 9로 나눠떨어지므로 74385도 9로 ...
수학적 원리 알면 새 주소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일어난 뒤, 도시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도로명주소를 쓰기 시작했다. 도로명주소의
편리
성이 알려지면서 현재 대부분의 나라가 도로명주소를 도입했다. 북한 역시 1960년대부터 도로명주소를 쓰고 있다. tip 새 주소 읽는 법도로명은 그대로 읽고 건물번호는‘번’으로 읽는다.‘-’로 쓴 가지번호가 ... ...
수학과 프로그램을 통역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중력파관측소(LIGO)’와 같은 거대과학 프로젝트에서는 적합성보다는 연구자 개개인의
편리
성에 맞춰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소프트웨어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연구결과를 통합해 하나로 만들 때 다른 언어로 바꾸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낭비되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기상 연구에서도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