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층"(으)로 총 2,0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하늘 보며 쓰나미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로마 사피엔자대 건설및환경공학과 마티아 지오반니 크레스피 교수팀은 이 같은 전리층의 변화를 GPS 위성으로 측정해서 쓰나미를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바리온’이라는 시스템을 고안했다. 현재 쓰나미 관측 연구는 지진계와 부표, 해저압력센서 등으로 측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 ...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전 지구에 실안개 층을 형성했을 거고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볼 때 성층권의 안개 층은 널리 뻗어 나갔을 겁니다. ‘절규’에 그려진 물결 무늬와는 다르게요. 실제로 1883년과 1884년 유럽과 북미에 나타난 색다른 일몰에 대한 자료에 화려한 색상은 묘사돼 있지만 물결 모양에 대한 언급은 없습니다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아무런 관계가 없는데, 무슨 짓을 하려 하느냐?”탐사 로봇은 지금껏 말한 것보다도 더 한층 가열차게 위협적인 말투로 말했다.“가장 무서운 방법으로 처벌할 거라니까. 우선 이 행성에 생물학자, 사회학자, 신학자를 20명씩 파견한 뒤에 철저히 저 생물에 대해 연구하도록 할 것이다. 그리고 그 각 ... ...
- Part 3. 마실물 만드는 별별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연구팀은 페트병과 같은 소재의 막에 양전하를 띠는 물질과 음전하를 띠는 물질을 여러 층으로 쌓았어요. 염분이 들어오지 못하게 화학적으로 처리한 거예요. 여기에 바닷물을 통과시켜 보니 97%의 염분이 걸러졌어요.맹그로브의 뿌리는 음전하(-)를 띠고 있어서 염화 이온(Cl-)은 밀어내고나트륨 ... ...
- [과학뉴스] 화학자가 새롭게 밝힌 눈송이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사실을 밝혀냈다.연구팀은 결정 구조에 따른 열 방출 수식도 세웠다. 슐츠 교수는 “층이 두 개인 의자 모양 얼음은 면적당 열을 가장 많이 방출해 금방 증발한다”며 “이보다 크고 편평한 육각 얼음은 면적당 방출하는 열이 적어 눈송이로 자란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 이 같은 결정 구조 때문에 ...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수 없이 많이 뚫린 실리콘 스펀지에 압력을 가하면 전기를 만들 수 있는데, 여기에 접지층을 넣어 발전기 내에서 전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만든 셈이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해 10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온라인판에 게재됐다.연구팀은 고효율 나노발전기로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 배터리를 ... ...
- 몸이 먼저 반응하는 곳, 서울시립과학관수학동아 l2017년 06호
- 하나 더 올라가야 한단다. 옆에는 이런 숫자가 보였다.√2. 그곳은 1층과 2층 사이 √2층이었다. 모두가 쉽고 빠르게 위치를 찾는 것보다 재밌게 실패해서 √2를 배우는 게 과학관의 목표인 걸까. 이정모 관장은 “과학은 몸으로 익히는 것”이라고 말했다.‘메이커 스튜디오’는 이런 취지를 살리는 ... ...
- [Career] 사람과 컴퓨터를 잇는 다리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움직일 수 있는 새로운 도구를 개발했다. 더구나 한글도 가능하다. 서울대 미술관(MOA) 1층에는 서 교수의 방에 있는 것과 같은 디스플레이 테이블이 마련돼 있다. 방문객들은 자유롭게 단어를 배치해 볼 수 있고, 다 만든 이미지는 바로 페이스북에 올릴 수도 있다.사람이 기준이 되는 연구다 보니, 서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비행기는 1인승이었다. 그동안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했고, 지금은 수백 명이 탑승하는 2층 항공기까지 개발됐다. 하지만 항공공학자들은 다시 작은 비행기를 꿈꾸고 있다. 물론 단순히 과거로 회귀하는 것은 아니다. 마치 자동차처럼 누구나 하나쯤 가질 수 있는, 나는 자동차(Flying Car, 이하 ... ...
- [Issue] 이게 맥주야? 커피야? 질소 커피의 인기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물질이 산소를 만나며 분해돼 미세한 거품을 이룬 뒤, 마치 크림처럼 보이는 얇은 층을 만든다. 이것이 크레마다.질소 거품은 원리부터 역할까지 모든 게 다르다.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차가운 물로 원두를 우려낸 콜드 브루에 인위적으로 질소를 주입해 생겨난다.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