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끝
최종
궁극
오메가
결말
꼴찌
d라이브러리
"
최후
"(으)로 총 500건 검색되었습니다.
부활을 기다리며 냉동인간 제조 이미 수백명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암, 백혈병, AIDS 등 죽음에 이르는 병을 가진 사람들에게 이 새로운 '생명연장법'은
최후
의 지푸라기였던 것. 아뭏든 냉동수술후 베트포드박사의 냉동체에서 수염이 자랐다는 사실은 그들의 기대심리를 높여 놓았다. 게다가 만화영화로 유명한 월트 디즈니도 냉동인간 대열에 끼었다고 해서 더욱 ... ...
바바라 맥클린토크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그 수수께끼는 풀리지 않고 있다. 유전학의 가장 위대한 발견 맥클린토크를 가리켜 '
최후
의 멘델인'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유전학은 본시 19세기의 성직자인 그레고리 멘델이 시작한 과학인데 맥클린토크는 어디를 보나 멘델의 진짜 제자라는 것이다. 그녀는 멘델이 완두콩시험장에서 오랜 ... ...
동물들은 사랑을 어떻게 표현하는가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부근이며, 코끼리는 코인 것이다. 물론 성기는 감각이 가장 예민한 곳이니까 스킨 쉽에
최후
는 교미인 것이다. 성에 심하게 집착하는 것은 너무 '동물적'이기 때문에 인간은 '사랑'이란 베일로 감싸버리며 때로는 플라토닉 러브에 이르기도 한다. 동물도 '성'과 '사랑'이 기능분리 되어버린 예가 있다. ... ...
아인슈타인 이후의 위대한 과학자 스티픈 호킹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시작했다. 케임브리지 대학의 천문학자 ‘마틴 리즈’가 이른바 성배(聖盃)(그리스도가
최후
의 만찬에서 썼다고 전해지는 술잔)찾기에 비유한 그의 이론은 일반상대론과 양자론을 합치게 될 것이다.그러기 위해서는 자연의 4개의 기본적인 힘중에서 양자론으로 아직도 설명할 수 없는 유일한 힘인 ... ...
PART4 인공심장, 제2단계로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개발도 핵심 과제이다. 한 인공심장관계자는 “완전한 인공심장을 제조하는데
최후
까지 남아 있을 문제로는 하드웨어에서 에너지원의 문제이고 소프트웨어에서 제어방법이 될 것입니다”라고 말해 제어방법의 중요성을 대변했다. 인공심장의 제어의 요체는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생체의 요구에 ... ...
북극 그 자연과 이용가능성을 알아본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지원대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이다. 1909년 3월 1일에
최후
의 해안을 뒤고 하고 4월 1일에
최후
의 지원대와 헤어진 피어리 일행 6명은 4월 6일 드디어 북극점에 도달했다. 그리고 4월 25일에는 피어리 일행이 무사히 루즈벨트호 위에 타고 있었다.1926년 5월에는 미국의 '버드'가 비행기에 의한 북극점 ... ...
세계의 핵무기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인류
최후
의 날을 재촉하는 가공할 핵무기 그 종류와 위력 그리고 핵군축의 노력을 알아본다. ...
태양계의 종말은?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기억하라. 그리하여 인류와 그 후손들이 다른 종류의 재난은 피한다는 가정하에서 그
최후
를 대비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은 있다. 그때쯤 가면 틀림없이 인류는 실제적인 별사이의 여행을 할 것이다. 우리는 어렵지 않게 보다 더 젊은 다른 별 주위를 돌고 있는 행성으로 가는 긴 긴 여행동안 우리를 ... ...
태평양의 열대꽃을 찾아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1만1천종의 열대식물이 있어, 제각기 다투어 피는 모습이 매우 감동적이다.또 지상
최후
의 낙원, 신들의 섬으로 알려진 발리섬에는 어느 곳에서나 크고 작은 사원을 볼 수 있는데 그곳의 검은 석불(石佛)의 귀에는 빨간 무궁화 한송이가 꽂혀 있어 인상적이다. 또 정열적으로 춤을 추는 여인들의 ...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과학기지를 건설한 한국. 현지모습과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본다. 백색의 사막, 인류
최후
의 대륙으로 불리우고 있는 남극에 우리나라 연구기지가 세워지고 있다. 지난해 12월16일 공사를 시작한 세종기지(The King Sejong Station)는 2월5일 공사를 마치게 된다. 까마득한 태고부터 쌓여온 수천m 깊이의 눈과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