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조"(으)로 총 9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소형무인항공기 등 여러 장비가 갖춰져 있었다(장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78p 참조). 가장 유용한 장비는 도플러레이더다. 레이더가 폭풍을 향해 빔을 쏘면 빗방울이나 수증기 입자, 얼음알갱이, 우박 등 여기저기에 부딪쳤다가 돌아온다. 어떤 것에 반사됐느냐에 따라 빔이 감소한 비율이 다르다. ...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과학동아 l2011년 06호
-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를 내 큰 주목을 받고 있다(과학뉴스와 아론 초우 박사 인터뷰 참조).하지만 초대칭 입자들은 현재 발견된 기본입자들보다 월등히 질량이 크리라 예측되고 있다. 이는 검출기를 이용해 만들기 힘들고, 검출하기도 어렵다는 뜻이다. 현재 출력이 가장 큰 유럽입자물리학연구소 ... ...
- 네안데르탈인, 정말 현생인류 만났나과학동아 l2011년 06호
- ‘교류’가 있었다는 것이 주류 고인류학계의 의견이다(과학동아 2011년 3월호 참조). 하지만 최근 이를 부정하는 연구 결과와 긍정하는 연구 결과가 나란히 발표돼 관심을 끌고 있다.지난 5월 11일 아일랜드 코크대 론 핀하시 교수와 러시아 페테르부르크 선사연구소 블라디미르 도로니체프 박사 ... ...
- 암흑물질 후보 윔프 입자 ‘없다 VS 있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주장과 이를 찾았다는 상반된 연구 결과가 잇달아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96쪽 기사 참조).이탈리아 그랑사소 입자물리연구소에 본거지를 두고 있는 다국적 연구팀 ‘다마(DAMA)’는 1996년 요오드화나트륨 결정을 이용해 우주에서 지구로 쏟아지는 암흑물질을 검출하는 측정기구를 만들었다. ... ...
-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서해안의 다른 조력발전소 예정지 모두 이런 어려움에 부딪히고 있다(48쪽 박스 기사 참조). 하지만 시화호는 이미 방조제가 만들어져 있는 상태였다. 발전설비만 설치하면 됐다. 2002년 처음 계획을 세운 뒤 2004년 말 공사를 시작했다. 만 7년만의 완공이다.공사 현장에 도착했다. 멀리 호수 쪽에서는 ...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1년 06호
- 포함돼 있다(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 2010년 4월호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 참조).‘네이처’ 5월 19일자에는 스타 그룹이 헬륨원자핵(알파입자)의 반물질인 반알파입자(anti-α particle)를 발견했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반양성자 2개, 반중성자 2개로 이뤄진 원자핵이다. 이 연구에 참여한 ...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강자성 현상에 대해서는 과학동아 2011년 1월호, 초전도 현상에 대해서는 2011년 4월호 참조-편집자 주).그렇다면 ‘자발적 대칭성 깨짐’이란 무엇일까. 오른쪽 그림의 (➊)처럼 모든 방향에 대해 대칭적인 가상의 곡면을 생각해 보자. 이 곡면에서 가장 안정된 상태는 이 공간의 가운데 오목한 지점, 즉 ... ...
- 2011 한국수학올림피아드 1차 시험 대비법 수학 최고수라면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지원을 받아 매년 개최하고 있다. 대한수학회에서 운영하는 KMO 홈페이지(www.kmo.or.kr)를 참조하면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KMO 덕분에 한국 수학실력 높아져세계에서 우리나라 중고생의 수학 실력은 매우 높은 편이다. 전체 학생의 평균실력도 높고, IMO에서도 아주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현재 세계 ... ...
- Part 2. 똑똑해서 슬픈 베르테르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얼마나 행복한 존재인지,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깨달았다고 고백한 바 있다(1파트 참조).서지인 씨의 말은 전문가가 영재들에게 또는 실패를 겪어보지 않은 사람들에게 조언하는 내용과 통한다. 민 원장은 “절망적인 상황에서 감정을 다스리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 세상에는 성적이 ... ...
- Part 1. 방사능 논란, ‘저선량 방사선’이 문제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1년 피폭 허용량(1mSv)보다 적은 방사선밖에 도달하지 못한다(과학동아 4월호 시사기획 참조). 이는 태풍처럼 예측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해도 마찬가지다(파트2 참조). 방사성 물질의 발생량 자체가 제한돼 있기 때문에 중간에 어떤 경로를 거친다 해도 방사능 피해가 더 커질 수는 없는 것이다.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