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은"(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6화. 우주순찰대는 혼자가 아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놀이북 10쪽과 함께 보세요! 지난 줄거리. 딱지는 무럭무럭 행성과 충돌하려는 혜성으로 날아가 폭탄을 설치한다. 간신히 설치를 마치고 돌아오려는 순간, 예기치 않게 혜성 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거기서 또 다른 므티 족을 마주치는데 “기록에 따르면 1500년쯤 전에 무럭무럭 행성에서 큰 화 ... ...
- [기획] 세계가 나의 무대! 수학으로 승부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먼저 한국 여성 수학자를 샅샅이 살펴봐야 한다는 특급 정보를 수집했어. 이들이 모인 ‘한국여성수리과학회’는 18년의 역사를 갖고 있고, 일본 수학계에서도 운영 방법을 배우고 싶어하는 단체라고 해. 여성 수학자가 말하는 수학의 매력은 뭘까? [필살기] 묵묵히 내 길에 몰두하기 수의 아름 ... ...
- [수학뉴스] 달걀 속 얇은 막, 주름의 비밀을 밝히다!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삶은 달걀을 깔 때 껍데기와 흰자 사이에 있는 매우 얇은 막을 본 적 있을 거예요. ‘난각막’이라 불리는 이 막은 달걀 형태를 따라 둥근 모양으로 껍데기에 붙어 있어요. 이 막을 떼어내 쫙 펴려고 하면 쭈글쭈글하게 주름이 생겨요. 그런데 불규칙해 보이는 이 주름에서 규칙을 찾을 수 있다는 ... ...
- [DIGST@융복합 파트너] 재미있는 양자물질연구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우리 연구실은 ‘재미있는 양자물질 연구실’이에요.”7월 26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서 만난 박기성 교수는 연구실을 이렇게 소개했다. 실제 박 교수 연구실의 이름이기도 한데, ‘재미있는’과 ‘양자물질’이라. 어울리기 어려울 것 같은 두 단어가 붙어있다.‘어째서…’ 라고 묻는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쏴아~! 쏴아~! 여기는 유럽대륙의 서쪽 끝자락, 포르투갈의 바다 마을 나자레야!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큰 30m 높이의 파도가 만들어지는 장소로 유명하지. 집채만 한 파도를 타는 서퍼부터 심해 생물 탐험까지 이번에도 마이보가 다양한 과학 영상을 준비했으니, 같이 구경하자고! 30m가 넘는 파도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2화. 수학과와 필즈상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여러분 안녕하세요. 서울대학교에서 대칭과 관련이 깊은 ‘군론’을 연구하는 이승재 박사후연구원입니다. 지난 호에서는 모교인 옥스퍼드대학교에 대해 알아봤는데요.오늘은 옥스퍼드대 수학과와 그 역사를 짚어보려고 합니다. “선과 각도, 그리고 조형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이것이 ... ...
- [특집] 어디로 이사가야 안전할까요?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아유, 이 손님은 무슨 헬리콥터를 타고 오시네. 운 좋게 ‘재난구조’ 칸에 걸려서 어디로든 이사 갈 수 있게 됐다고요? 그럼 우리 부동산에 잘오셨네요. 마침 어디에 집을 구해야 기후재난에서 안전하게 지낼 수있을지 딱 고를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마련해뒀거든요. 홍수, 태풍, 그리고 폭염까지 ... ...
- [SF 소설]톨리의 숲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편집자 주. 그림을 대신 그려주는 인공지능 ‘Disco Diffusion’에 소설 내용을 입력해서 만든 그림입니다. 여러 번의 시도 끝에 인공지능의 힘을 빌려 멋진 그림을 만들 수 있게 됐습니다. 앞으로도 기대해 주세요! 톨리는 작고 빨간 새였다. 그 사실이 변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았다. 티타니 ... ...
- [특집] 코딩하는 인공지능이 일자리 뺏어갈까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것이 중요하겠지요.외게 드 무어는 “코딩 분야에서 커리어의 미래가 이렇게 밝아 보인 적은 없었다”며 인터뷰를 끝맺었다. 이렇듯 현직 개발자들과 AI 전문가는 입 모아 AI에게 일자리를 뺏길까 봐 두려워 개발자 꿈을 포기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한다. 오히려 AI가 발달하면 개발자들이 문제를 ... ...
- [논문탐독] 중독에 강하거나 약하거나 우리 뇌에 달려 있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1~2%입니다.DRD2는 콜린성 신경세포가 발현하는 수많은 유전자 중 하나일 뿐이죠. 이처럼 적은 양의 단백질이 신경세포의 활동을 바꾸고, 그 변화가 동물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보면 참 신기합니다. 하지만 이 논문은 생명체에 대한 신기함을 주는 것을 넘어 중독이라는 질병에 대해 우리에게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